|
 |
|
ⓒ 고성신문 |
|
현재 인구감소추세가 유지된다면 2~3년 안에 고성군 인구는 5만 명 미만으로 줄어들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고 있다.지난달 기준 고성군 전체 인구는 5만2천433명이었다. 이는 올해 1월 5만3천198명보다 765명이 줄어든 수치다. 2년 전인 2017년 10월보다는 1천748명이 줄었다. 전체 인구 1천793명인 삼산면 한 지역이 거의 통째로 사라진 셈이다.2019년 10월 기준 고성읍은 2만4천989명이었다. 면 지역 중 인구가 가장 많은 곳은 거류면으로, 4천472명이었다. 회화면은 3천649명, 동해면은 3천202명, 하이면이 2천828명으로 뒤를 이었다.하일면은 1천899명, 마암면 1천806명, 삼산면 1천793명, 대가면 1천659명, 상리면 1천629명, 영오면 1천469명, 개천면 1천146명, 구만면 1천17명이었으며 영현면은 군내에서 가장 적은 875명이 거주하고 있다.2015년 10월부터 1년간 840명이 고성을 빠져나갔다.
2016년 10월부터 2017년 10월까지는 456명, 2017년 10월부터 2018년 10월까지는 891명이 전출했다. 인구감소가 점차 가속화되면서 지역소멸이 더욱 앞당겨질 수 있다는 우려와 함께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군 관계자는 “주거, 교육 등으로 인한 전출과 자연감소율이 높아지면서 인구 5만 명 선도 위태롭다는 우려와 지적이 많다”면서 “출산률을 높이고 생산활동에 종사할 수 있는 청년들의 유입을 위해 청년 정책을 강화하고 생활 인프라 구축을 위한 계획을 구상 중”이라고 설명했다.이 관계자는 “전입축하금 지원, 출산장려 등 다른 지역과 비슷한 수준으로 하고 있으며 일자리 교육 등을 통해 실업률을 줄이고 저출산 인식개선, 미혼남녀 만남 주선, 다자녀세대 지원 등 결혼과 출산, 양육에 대한 전반적인 지원이 이뤄지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경남도에서도 청년유입, 저출산 노력하고 있고 정책혁신추진단이 하달하는 형태로 하고는 있다”면서 “내년에 새로운 국과 계가 생기면 실질적으로 인구유입에 도움이 될 만한 정책과 사업 등을 탄력적으로 추진하는 것은 물론 이당산단이 가동되면 인구가 늘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그러나 일부 군민들은 군의 인구증가시책에 대해 회의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군민 A씨는 “인구감소가 급속도로 진행되는 것을 보면 인구증가시책은 실효성이 없다는 뜻”이라면서 “일회성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것만으로는 인구증가에는 도움되지 않으며 정주여건 개선이 인구증가에는 더 중요한 문제”라고 지적했다.B씨는 “교복값 지원이 시작되면서 일부 학교에서는 100명이 넘는 학생들이 고성군으로 전입했다고 하지만 3월부터 4월까지 인구가 120명이 넘게 줄어든 것을 보면 실제로 효과가 있었던 것인지 의심스럽다”면서 “이대로라면 정말 고성군 인구 5만 명도 곧 무너지지 않을까 걱정된다”고 말했다.군민들은 보다 실효성 있는 인구증가시책이 필요하며, 다른 시군 수준이 아닌 획기적인 방안을 추진해야 실제 인구유입과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을 내놓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