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고성신문 |
|
고성군이 취약지역 생활 여건 개조사업 공모를 신청할 예정인 가운데 일부 의원들은 고성읍을 함한 5개면은 한 번도 선정된 적이 없다며 형평성이 없다고 지적했다. 군은 지난 5일 고성군의회 의원월례회에서 2026년 취약지역 생활 여건 개조사업 공모계획에 대해 보고했다. 해당 사업은 낙후된 지역의 안전·위생 등 생활 인프라 확충 및 주거환경 개선을 지원하고 주민의 기본적인 생활 수준 보장을 통한 주민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추진되는 사업이다. 사업 기간은 2026년부터 2029년까지로 선정된 마을은 4년간 국비 15억 원 이내에서 지원받을 수 있다.
공모 신청기준은 기초생활수급자 등 취약계층 비율이 높고 노후 슬레이트 주택 등 주거환경이 열악해 안전 및 생활 인프라가 전반적으로 취약한 지역은 가능하다. 군은 올해 희망 지역 수요조사를 바탕으로 생활 위생 인프라·주택 취약도, 주택 밀집도, 서비스 접근성 등 평가지표에 따라 고득점을 받은 상리면 무선마을과 마암면 전포마을을 공모신청 대상마을로 선정했다. 군은 이달 중 공모 신청 대상마을 현장 컨설팅을 거쳐 내달 경남도에 공모신청서를 제출할 예정으로 오는 6월 공모 선정 결과가 발표될 예정이라고 보고했다.
앞서 군은 2016년부터 농어촌 취약지역 생활 여건 개조사업을 공모 선정을 통해 영현면 대법마을 등 총 13개 마을이 선정돼 예산지원을 받았다. 그러나 상리면은 3번, 대가면, 마암면은 2번이 선정됐음에도 또다시 신청대상지로 선정된 반면, 고성읍과 삼산면, 동해면, 구만면, 하일면, 영오면 등 6개 읍면은 한 번도 대상지로 선정되지 않아 형평성에 맞지 않다는 지적이다.
김석한 의원은 “고성읍에도 보면 해당하는 마을이 많다. 이장들이 사업을 신청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라며 “공무원들이 먼저 취약지역을 조사하고 신청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이쌍자 의원은 “취약지역 생활 여건 개조사업은 주민들이 많이 요구하는 사업들이다. 그러나 홍보가 제대로 안 돼서 사업을 인지하지 못해 신청하지 못하는 경우들도 있을 것”이라며 “해당 사업을 여러 사업에 대해서도 군에서 적극적으로 나서 홍보하고 신청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최을석 의장은 “상리면은 3번, 마암면은 2번 선정됐음에도 올해도 신청한다. 고성읍을 비롯한 6개 읍면은 한 번도 안 했다. 다른 지역도 군민들이 사는 지역이다. 형평성이 안 맞다”라며 “지금이라도 대상지를 바꿀 수 있으면 바꿔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