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고성신문 |
|
고성군의회가 가야사 연구복원사업 추진을 위한 특별법 제정을 촉구했다.의회는 지난 22일 제247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를 열어 가야사 연구복원사업 추진을 한 특별법 조속 제정 촉구 대정부 건의문을 채택했다.
대표발의에 나선 최상림 의원은 “역사적 기록에 의하면 가야왕국은 고구려, 백제, 신라 삼국과 더불어 어깨를 나란히 했던 제4제국이었으며, 신라에 합병될 때까지 거의 500년 이상 존속했다”면서 “그 영역은 고성을 비롯한 지금의 경남전역과 고령 등 경북일부와 호남 동부지역을 비롯해 부산일부까지 영호남 5개 시도에 걸쳐 있었으며 바다를 건너 고대 일본 문화 형성에도 크게 기여했다”고 했다.최 의원은 “2017년 7월 가야사 복원을 위한 가야문화권 조사연구 및 정비 사업이 정부 100대 국정과제로 채택됐다”면서 “그럼에도 가야는 삼국중심의 역사에 가려져 있었고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고대사 조사·연구·복원 사업에서도 소외되어왔다”고 지적했다.
그는 “1천500년이 지난 지금 가야의 역사와 문화를 재조명하고 복원하는 것은 경남을 비롯한 영호남 지역 국민들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매우 의미 있고 중요한 일”이라며 “가야역사문화의 복원을 제대로 이루어낸다면 역사 속에 가려져 있는 가야역사도 비로소 고구려, 백제, 신라 역사와 더불어 우리 민족의 정체성과 자긍심을 한층 더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또 “복원된 가야의 역사문화자원은 지금까지 계승되어 온 소중한 문화유산으로서 관광자원과 문화콘텐츠 산업의 원천이 되어 가야문화권의 경제적 효과뿐만 아니라 문화도시로서의 인지도 제고와 가야문화권 국민들의 문화수준 향상에 초석이 될 것”이라 했다.
최상림 의원은 “고성군과 가야문화권 지자체는 가야역사문화의 조사연구와 복원을 통해 영호남의 벽을 허물어 하나 된 영호남을 이룩하고 가야의 문화유산을 국제적 관광자원으로 개발하여 낙후된 지역발전을 이루기 위해 합심하여 노력하고 있다”면서 “선조들이 물려준 소중한 가야문화유산을 제대로 복원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조사연구와 철저한 고증을 위한 예산지원과 이를 뒷받침하는 법적근거 마련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역설했다.의회는 5만2천 고성군민의 염원을 모아 ‘가야문화권 조사연구 및 정비’ 국정과제를 지원하기 위한 ‘가야사 연구복원사업 추진을 위한 특별법’을 조속히 제정해줄 것을 건의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