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뉴스 >"하현갑" 기자님의 기사 | 총기사 (전체 1,141건)
|
|
|
|

|
|

|
벼멸구 잎도열병 발생 벼농사 빨간불
|
계속된 장마로 벼멸구와 도열병이 크게 발생해 올해 벼농사에 빨간불이 켜졌다. 고성군은 장마 등으로 심각한 벼 병해충 방제를 위해 예비비 4억원을 들여 4천684㏊에 대한 긴급방제에 들어갔다.고성군농업기술센터는 잎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벼멸구류 흑명나방 등의 약제비를 지원하고 있다. 약제.. [
08/21 15:23]
|
|

|
|
|

|
자치단체장 선심성사업 주민소송으로 책임 묻는다
|
지방자치단체장의 선심성·치적 쌓기 등 소위 묻지마 사업으로 막대한 예산을 낭비한 단체장과 공무원 등을 상대로 한 주민소송이 잇따를 전망이다. 지방자치단체장들의 방만한 예산집행을 막기 위해서는 이들이 퇴임한 뒤에도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대법원이 지난달 2.. [
08/14 14:46]
|
|

|
|
|

|
|

|
코로나19에도 체육 문화행사 지역경기 도움
|
코로나19로 힘든 군민들에게 문화예술 공연과 체육행사 등으로 희망과 용기를 북돋고 있다.5월까지 읍면체육행사는 물론 동창회 종친회 등 각종 모임과 행사가 줄줄이 취소되거나 연기되면서 고성지역도 지역경기가 침체되는 등 어려움을 겪어 왔다.하지만 고성군은 지난 6월부터 사회적 거리두기를 .. [
08/14 14:44]
|
|

|
|
|

|
|

|
고성인구 5만 명 무너질 위기
|
고성군의 인구가 5만 명선이 무너질 위기에 처했다.현재 고성군의 인구는 5만1천 737명(남 2만5천971명, 여 2만5천766명)으로 매년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3년간 2천863명이 줄었다.고성군인구는 2017년도 5만4천60명에서 2018년 5만3천243명 2019년 5만.. [
08/14 15:23]
|
|

|
|
|

|
해양치유센터 어업인 의견 수렴 안돼
|
고성군과 경남도가 공모사업으로 추진하게 될 고성해양치유센터건립사업이 지역주민과 어업인들의 의견을 수렴해 추진해야 한다는 지적이다.하일면과 삼산면 어업인들은 자란만 일대 고성해양치유센터 건립이 공모사업으로 확정됐다는 것을 지역언론 보도로 알게 됐다며 사업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어업인들은 .. [
07/31 15:35]
|
|

|
|
|

|
|

|
9월 22일부터 제2회 허수아비경연대회
|
제2회 허수아비경연대회가 9월 22일부터 열릴 예정이다.오는 9월 25일부터 27일까지 열리는 제43회 소가야문화제 행사 기간중에 열리는 읍면 허수아비경연대회 일정을 확정했다.소가야문화보존회는 지난 28일 고성박물관 강의실에서 고성읍주민자치회를 비롯한 회화면주민자치회 마암면주민자치회 .. [
07/31 15:30]
|
|

|
|
|

|
한국판 뉴딜 정책 농어업분야 사업 부족 지적
|
현 정부의 역점 사업인 한국판 뉴딜 정책과 관련하여 농어업분야 사업이 불과 5개에 불과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정점식(미래통합당, 통영‧고성) 국회의원은 한국판 뉴딜정책의 약 70개의&.. [
07/31 15:15]
|
|

|
|
|

|
양촌 용정 조선특구 사업자 못 찾아
|
양촌·용정지구 후속사업자인 경남중공업이 투자협약 해지를 통보해 사업추진이 또다시 불투명해지고 있다.경남중공업은 지난해 산지전용부담금, 바다 매립 등으로 인한 예치금을 예치하지 못하고 지지부진한 가운데 잔금 등을 치르지 못한 경남중공업 간 양촌·용정지구 투자협약 해지를 통보했다. 부산은.. [
07/31 15:10]
|
|

|
|
|

|
|

|
불법촬영 관련 박종훈 도교육감 머리 숙여
|
현직 교사가 불법촬영을 해 물의를 빚으면서 박종훈 교육감이 도민들에게 머리를 숙였다.박종훈 경남교육감이 20일 잇따른 현직 교사들의 화장실 불법 촬영 카메라 사건 발생에 대해 처음으로 공개 사과하고 재발 방지를 약속했다. 박 교육감은 이날 오후 2시 도교육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 [
07/27 17:36]
|
|

|
|
|

|
해양치유센터 건립 사업 본격 추진
|
고성군 자란만 일대 해양치유센터 건립 사업이 본격 추진된다.고성 해양치유센터 건립 사업은 고성군 하일면 송천리 108 자란도에 지하 1층, 지상 3층 연면적 5924㎡ 규모의 해양치유센터를 건립하는 것으로 총 354억 원의 사업비가 투입된다.올해 국비 10억 원과 도·군비 10억원 등.. [
07/27 17:31]
|
|

|
|
|

|
정점식 의원 한국마사회 특별적립금 어업‧어촌 지원 확대
|
한국마사회의 특별적립금을 통한 지원사업 중 ‘이해증진 및 소비촉진사업’에 어업‧어촌이 추가되어 어업‧어촌 전반의 소득 증대와 함께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 넣을 것으로 전망된다.미래통합당 정점식 의원(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경남 통영‧고성)은 지난 1.. [
07/27 17:21]
|
|

|
|
|

|
일본식 지명 바로 잡아야 한다
|
일제강점에서 해방된 지 70주년인 올해 민족정기를 바로 세우고자 하는 노력들이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는 가운데 일제가 멋대로 왜곡한 지명 이른바 창지개명(創地改名) 속에서 우리 지역의 지명도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자치단체의 보다 적극적인 개명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이에 고성군은 올해 추경.. [
07/27 17:14]
|
|

|
|
|

|
|

|
소가야문화제 전시행사 간소하게 열어
|
오는 9월 25일부터 28일까지 열릴 예정인 제43회 소가야문화제 행사의 전시와 체험 특별행사를 간소화하여 준비키로 했다.소가야문화보존회는 지난 15일 고성박물관 회의실에서 전시공연 분과회의를 개최했다.이날 코로나19 대응 문화 예술행사 축제 방역지침 교육을 실시하고 각분과 단체별로 .. [
07/17 16:14]
|
|

|
|
|

|
|

|
정점식 의원 미통당 법률자문위원장 선임
|
정점식 국회의원(경남 통영·고성)이 지난 13일 미래통합당 법률자문위원회 위원장으로 임명했다.이날 미래통합당은 중앙위원회, 법률자문위원회, 북한 인권 및 탈북자‧납북자 위원회, 중앙여성위원회, 재외동포위원회로 구성된 5개 상설위원회 의장 및 위원장과 중앙연수원장을 선임했다... [
07/17 15:49]
|
|

|
|
|

|
자치분권 법제화 논의 활기
|
지방정부의 역할이 부각되면서 자치분권 논의도 활기를 띄고 있다.자치분권 법제화를 완성해야 한다는 의견은 오래전부터 제기돼왔다. 1991년 지방자치제 도입 이후 30년 가까이 흘렀는데도 정치·재정·행정 분권이 미흡하다는 이유에서다. 20대 국회에도 ‘지방자치법 전부개정안’ 등 자치분권 .. [
07/17 15:48]
|
|

|
|
|

|
정점식 의원 학교급식법 일부개정법률안 대표발의
|
정점식 의원(미래통합당, 통영‧고성,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은 학교급식의 질 향상 및 농축수산물 소비촉진을 위한 ‘학교급식법 일부개정법률안’을 지난 10일 대표발의 했다고 밝혔다.학교급식법은 학교급식의 질을 향상시키고 학생의 건전한 심신의 발달 및 국민 식생활 개선에 기.. [
07/17 15:47]
|
|

|
|
|

|
매미나방 잡을 약제 없어 피해 늘어
|
산림해충인 매미나방으로 인한 농작물 피해가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매미나방은 주로 산림에 피해를 주는 나방이지만, 올해 유난히 따뜻했던 겨울 탓에 발생량이 크게 늘면서 산림지뿐만 아니라 농경지까지 내려와 피해를 주고 있다.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에 따르면 전국 매미나방 유충 발생면적은 6.. [
07/17 15:46]
|
|

|
|
|

|
|

|
당항포관광지 부분 개장 내년 공룡엑스포 콘텐츠 미리 선보여
|
지난 7일부터 당항포관광지가 다시 문을 열었다.고성군은 코로나19로 인해 지친 시민들에게 휴식 공간과 즐거움을 함께 제공하기 위해 공룡엑스포 주 행사장인 당항포관광지를 부분 개장하고 있다고 밝혔다.이미 지난 6일 백두현 군수는 2020경남고성공룡세계엑스포 연기 브리핑을 통해 공룡엑스포.. [
07/17 15:45]
|
|

|
|
|

|
|

|
삼천포발전소 피해조사 믿을 수 없다
|
삼천포화력발전소 주변지역 주민건강영향조사를 믿을 수 없다며 주민들이 반발했다.하일 하이 삼산면 지역 주민들은 이날 설명회를 듣고 “삼천포화력발전소 주변지역 1~2차 주민건강영향조사는 도저히 납득할수 없는 엉터리 조사”라며 불신을 표했다. 지난 16일 하이면사무소에서 삼천포화력발전소 주.. [
07/17 15:38]
|
|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