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고성신문 |
|
“그야말로 어깨가 무겁다는 말의 의미를 알겠습니다. 군내 여성단체들의 2년 살림을 꾸려야 하는 자리 아닙니까. 불협화음이 없어야지요. 모든 회원에게 귀를 열어두겠습니다. 그게 봉사의 기본이기도 하니까요.”제옥자 회장은 올해부터 2년간 고성군여성단체협의회를 이끈다. 무학부녀회장으로 시작해 지금까지 30년 가까이 새마을부녀회에 적을 두고 있다. 마을주민들을 살피고, 봉사하는 일이 늘 즐거웠다. 그러다 읍회장, 군회장을 거쳐 이제는 고성군내 모든 여성단체를 이끄는 협의회장까지 맡게 됐다.제 회장은 고성읍 정동에서 태어나 무학동 남편과 결혼해 고성에서 지금껏 살았다. 결혼해 아이들을 낳아 키우고, 잔손이 덜 갈 때쯤부터 부녀회장을 맡았다. 그때부터 마을 일이라면 눈이 번쩍 뜨이고, 기력이 없다가도 봉사라면 온 몸에 힘이 돈다.“
주변 어르신들 먹을거리 좀 더 챙겨드리고, 다른 나라에서 남편 하나 보고 고성사람이 된 우리 딸들 사는 것 좀 둘러봐주고, 내 손자들 마음 편히 즐겁게 지내는 지역 만들기 위해 내 힘이 필요하다면 내 시간쯤 조금 내줘도 아깝지 않잖아요. 봉사라는 게 거창할 건 없지 않나요?”천성이 그랬다. 딱히 봉사해야겠다는 생각도 아니었다. 내 가족들이 사는 고성에 일손을 조금 보탠들 그게 손해날 일은 아니었다. 그저 젊은 시절부터 늘 바지런하게 움직여야 하루를 살아낸 것 같고, 궂은 일엔 누구보다 앞장서야 사는 것이 생기가 돌았다. 지금보다 조금 더 살기 좋은 고성을 만들기 위해 일손을 나누고 보태는 것, 협의회장으로 임기를 지나는 2년동안도 꼭 그렇게 할 셈이다.“여성단체협의회는 자원봉사, 다문화가족지원, 보육환경 조성, 양성평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 사업들을 진행하는 데 문제 없도록 회원들의 의견을 모으고, 살림을 야무지게 사는 게 제 역할이라고 생각합니다.
”제옥자 회장은 강산이 세 번 바뀌는 동안 한결같이 자리를 지켜왔다. 민주평통 고성군협의회 부회장, 소가야문화보존회와 고성군교육발전위원회 이사도 맡고 있다. 보람있는 일들은 너무 많아 하나를 꼽자니 꼽을 수도 없다.“회원들이 도와주지 않았다면 힘들었던 일들이 많아요. 그러니 제 역할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무슨 일이든 단체의 회장님들과 의논하겠습니다. 누구나 평등한 행복을 누리는 고성을 만들기 위해 여성단체의 작은 목소리도 크게 듣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