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고성신문 |
|
|
 |
|
ⓒ 고성신문 |
|
“현장이 주는 즐거움이 있다. 마을교육공동체를 정치적 성향으로 판단하지 말라.” 고성군내 마을학교와 마을강사들이 경남도의회의 마을교육공동체 활성화 지원조례 폐지에 대해 강한 반대입장을 전했다. 박종훈(얼굴 사진) 교육감은 각 지역별 의견 수렴 후 재의를 요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박종훈 경남도교육청 교육감은 지난 21일 고성교육지원청을 방문해 도의원과 마을강사, 교직원, 학부모, 일반 군민 등 1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아이들의 배움터를 위한 마을교육공동체에 대한 지역의견 수렴’ 소통 간담회를 가졌다. 이 자리에서 고성군내 마을학교 관계자들과 마을강사 등은 “지역자원을 활용한 교육활동은 아이들의 교육기회 보장, 나아가 지역발전을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하다”라는 입장을 재차 내놨다.
회화초 관계자는 “마을연계 교육과정은 단순한 체험이 아니라 마을을 통한, 마을을 위한, 마을에 대한 것”이라면서 “교육의 효과는 단시간에 나오지 않는다. 사업적 논리로 접근하면 안 된다. 아이들이 고성에 관심과 자부심을 갖게 하는 것이 마을연계교육과정이며 이는 지역발전의 바탕이 된다”라고 말했다. 마을학교 관계자는 “현장이 주는 즐거움이 분명 있다”라면서 “현장에 있는 우리는 폐지 이유로 꼽힌 정치적 편향성이 이해가 가지 않는다. 누구나 인정할 수 있는 이유가 있을 때 폐지해야 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다른 마을학교 관계자는 “마을학교는 강사들의 밥벌이 수단이 아니라 가치가 중요한 것”이라면서 “의원 누구도 실제 현장을 다녀가지도 들여다보지도 않았고 마을교사 역량과 기반을 알아보지 않았다. 마을강사는 정치에 갇히지 않고 청소년에게 교육할 수 있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한 마을강사는 “우연히 우리 배움터가 방송에 소개되면서 주말이면 전국에서 1천 명이 몰려온다”라면서 “정치적 편향이 이유라는데 오히려 도의회가 색안경을 낀 것은 아닌가. 마을교육공동체의 성과에 공감한다면 살릴 수 있는 방법을 알려달라. 아이들을 위해 고민해야 한다”라는 의견을 밝혀 환호를 받기도 했다. 이날 참석한 한 학부모는 “2021년에 제정한 조례를 2024년에 폐지한다는 것도 이해할 수 없고 정치적 편향을 이유로 드는 것 또한 어처구니 없다”라면서 “개선할 수 있는 문제를 두고 우리 아이들을 다시 한 명만 1등하던 60~70년대로 되돌아가게 할 것인가. 조례 폐지 전 이런 자리가 마련됐어야 하고, 도의회에서도 교육현장을 직접 가서 정확히 파악했어야 한다”라고 꼬집었다.
마을학교 관계자들은 “이제 정착돼가는 마을학교를 예산으로 옥죄는 일은 없어야 한다”라면서 “지역교육청과 지자체가 함께 노력하고 소통해 해결해야 할 문제”라는 데 뜻을 모았다. 박종훈 교육감은 “다른 시도에서는 마을교육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의정토론회, 정책사업 연구가 이어지고 있는데 우리는 조례를 폐지하기에 이르렀다”라면서 “어른들의 시각으로만 아이들을 바라봐서는 안 된다. 마을교육공동체는 지역사회와 학교가 협력해 교육의 가치를 실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오늘 나눈 의견들을 바탕으로 소통하면서 깊이 성찰해 방향을 모색하겠다”라고 말했다. 박종훈 교육감은 고성교육지원청 방문 소통 간담회를 시작으로 다음달 초까지 18개 시군을 모두 방문해 마을교육공동체 관계자와 지역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한 후 도의회에 재의를 요구하겠다는 입장이다.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