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교육상 수상자가 2회째 배출되지 않고 있는 가운데 지난해에는 추천자조차 없어 기준을 완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고성교육지원청은 지난해 10월 29일 고성교육지원청 공지사항 게시판에 ‘2019년도 고성교육상 시상 추천 안내’라는 제목으로 고성교육상 후보를 추천받았다. 11월 20일까지 약 3주간 후보자를 추천받고 11월 25일 고성교육상공적심사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12월 20일 시상한다는 계획이었다.고성교육상은 2001년 11월 고성교육상 표창규정에 의해 제정된 후 같은 해부터 학교경영, 교육연구, 학생지도, 교육여건 조성에 탁월한 공적을 세워 고성교육 발전에 기여한 교원, 교육전문직, 일반직, 민간인을 대상으로 2년에 한 번, 2명 이내를 선정해 시상하고 있다.
2회까지 시상했던 고성교육상은 재정 등의 문제로 중단됐다가 2009년 전국 최초로 고성교육인의 날이 제정되면서 부활됐다. 교원·교육전문직·일반직 등 현 교육계 종사자와 고성 교육발전에 탁월한 공로가 인정되는 민간인 등 2개 분야에 시상하고 있다.그러나 2016년 김오현 전 고성군교육발전위원회 이사장, 정경훈 전 고성교육장 이후 2회째 고성교육상 수상자를 배출하지 못하고 있다. 심지어 지난해에는 후보자가 한 명도 접수되지 않아 시상되지 못했다.2년 전에는 1명의 후보가 추천돼 심사위원회를 개최했으나 기준에 맞지 않아 선정되지 않았다.2회 연속 수상자를 배출하지 못하자 일부에서는 고성교육상의 선정 기준을 완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군민 A씨는 “교육공무원은 20년 이상 근무한 사람 중 선정한다고 해도 교육 관련 수공기간 20년 이상의 민간인은 흔치 않다”면서 “고성교육 발전에 기여한 교육자에게 명예와 위상을 높이기 위한 것은 이해하나 연속으로 수상자가 나오지 않는다면 기준을 완화할 필요도 있다”고 지적했다.B씨는 “시상에 연속성이 없는 데다 추천조차 없이 유명무실하다면 기준 완화나 변경 폐지하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며 “기준을 조금 낮춰 고성교육상을 시상해 더 많은 교육 관계자의 사기를 진작해야 한다”고 말했다.이러한 지적에 대해 고성교육지원청 관계자는 “고성교육상은 개인에게 시상하도록 규정돼있지만 2회 연속으로 수상자가 나오지 않아 내부적으로 기준 완화에 대해 논의했다”면서 “종전에는 후보를 개인으로 한정했으나 다음 후보자 추천부터는 단체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가닥을 잡았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