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고성신문 |
|
고성군 최초로 건립된 문성아파트의 노후가 심각해 사고 발생 우려가 있어 군에서 매입하는 방안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문성아파트는 고성군 1호 아파트로 1980년 준공돼 23세대가 거주하고 있으며, 올해로 준공된 지 44년이 흘렀다. 이렇다 보니 해마다 고성군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는 문성아파트의 안전 문제에 대한 지적이 끝이질 않고 있다.
지난달 열린 행정사무감사에서도 김석한 의원은 “문성아파트는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가장 높은 공동주택”이라며 “지난해 행감에서도 질의하고 난 뒤 노력은 했지만, 아직 대책이 마련되지 않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안전진단에서 D등급을 받았고 E등급을 받아야 철거 대상이다. 하지만 지금은 E등급이 나올 만큼 상당히 안전 문제가 있을 수 있다”라면서 “이대로 계속 두고 E등급이 나올 때까지 기다렸다가 E등급을 받으면 입주민을 쫓아낼 것인가?”라고 질타했다. 김 의원은 “동외동유적(패총) 때문에 재개발도 어렵다. 입주민들은 세대당 4천만 원 정도 보상이면 이주할 계획이 있다고 한다”라며 “목욕탕 굴뚝도 조례 등 지원 근거를 만들어 지원하고 빈집도 보상해주고 읍에 주차장 조성한다고 보상해주고 다 해주면서 왜 문성아파트는 방치하는지 이해되지 않는다”라고 행정의 미온적인 태도를 비판했다. 그는 “고성도 지진이 안 온다는 보장이 없다. 문성아파트를 이대로 방치하다가 나중에 무너질 수도 있다. 주차장을 조성할 때 건물도 사고 조성한다. 동외동유적 사업을 하면서 충분히 매입해 주차장으로 활용하던지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라고 촉구했다.
이에 군 관계자는 “동외동유적과 연관해 문화재보호법상 대지 보상은 가능하지만, 건물은 보상이 어렵다”라면서 “입주민들과 토론회를 열어 해결방안을 찾아보겠다”라고 답변했다. 이와 관련해 일부 군민들은 “군이 고성읍 주차난 해소를 위해 막대한 예산을 들여 공영주차장을 조성하고 있다”라면서 “현재 추진 중인 성내 공영주차장을 조성하는데도 40억의 예산을 투입된다”라고 말했다.
이어 “문성아파트는 철거비 1~2억, 23세대 4천만 원 보상 9억2천만 원 약 11억의 예산이 소요된다”라면서 “주차장 조성을 위해 약 6억8천만 원의 개인 건물도 매입을 계획하면서 23세대가 거주하고 군민 안전이 위협되는 문성아파트는 유력인사의 입김이 없어서 그대로 방치하는 것인가?”라고 성내 공영주차장 조성 문제에 빗대어 행정을 비꼬았다. 이처럼 문성아파트의 사고 위험이 해마다 지적되고 있는 가운데 행정이 올해는 대책을 마련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