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들의 거센 반대로 사업추진에 어려움을 겪었던 삼락리 축사가 포함된 농촌 공간 정비사업이 주민과의 합의점을 찾아가던 중 돌연 참여 농가들이 사업을 포기하면서 또다시 난관에 봉착했다. 고성군에 따르면 최근 농촌 공간 정비사업에 참여하는 농가에서 사업포기서를 군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군은 지난 2022년 농림축산식품부 공모사업으로 농촌 공간 정비사업이 선정돼 사업비 266억 원을 들여 농촌 공간 재생과 정주 환경 개선을 위해 영오·마암·회화면의 축사 3곳을 삼락리로 이전, 예전 축사는 철거하는 것으로 사업을 추진해왔다.
그러나 마암면 삼락리가 축사 이전 장소로 확정되자 마암면 주민들의 거센 반발로 인해 사업이 지연됐다. 이에 군과 참여 농가에서는 주민설명회와 선진농장 견학 등을 통해 계속해서 주민들을 설득했고 주민들과 합의점을 찾아가고 있었다. 그러나 군에서 기본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예상보다 사업비가 더 들 것으로 예상돼 최근 참여 농가에서는 군에 사업 포기 각서를 제출했다. 군 관계자는 “기존 농가를 삼락리로 이전해 축사를 조성하는 데 사업비가 300억 정도 드는 것으로 나타났고 농가에서는 폐업보상 100억을 받고도 200억을 더 투자해야 해 부담으로 작용하면서 최근 사업포기 각서를 제출했다”라고 밝혔다.
이어 “농가에서 사업을 포기하면 농촌 공간 정비사업을 기존대로 진행하기는 어렵다. 다른 참여 농가를 변경하는 방안도 검토했지만, 앞서 농림축산식품부에서는 참여 농가 변경은 어렵다고 말했다”라면서 “조만간 경남도, 농림축산식품부와 협의를 통해 사업을 변경하는 방안이 있는지 검토하고 최악의 경우 사업을 포기하고 예산을 반납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이처럼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농촌 공간 정비사업이 결국 참여 농가에서 사업을 포기하면서 또다시 백지화될 상황에 놓였다.
사업에 참여했던 농장은 계속해서 해당 위치에서 농장을 운영할 것으로 예상돼 인근 주민들의 정주 환경 개선도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농장 관계자는 “삼락리에 사업을 추진하면 사업비가 많이 소요되지만, 현재 사업이 진행 중인 스마트축산 ICT 시범사업 단지 인근에 3개 농장의 축사도 건립하면 사업비를 절약하고 사업도 추진하는 방안을 검토해 봐야 한다”라는 의견을 제시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