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면 용정리에 조선산업특구 조성이 난항을 겪고 있다.
군에 따르면 지역경기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지역특화전략사업으로 동면 용정리 일원을 조선산업특구를 지정해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동해면 용정리 일대 44만9천742㎡(13만6천47평) 면적에 조선산업특구 지정을 추진 중이다.
동해조선산업특구는 조선기자재생산과 중형선박을 건조할 계획이다.
오는 2006년부터 조선산업특구 지정을 위한 행정업무를 추진해 2009년 준공할 예정이다.
이 특구는 총 738억 원의 민자유치사업으로 추진하게 된다.
동해조선산업특구가 지정되면 1천 여명의 고용창출효과는 물론 연간 2천550억 원의 경제파급효과가 기대된다. 그러나 민자업체인 거제 (주)H기업(선박기자재 제조)과 특구예정지인 동해면 용정리 가룡마을 주민과의 부지 매입협의가 제대로 안 돼 특구 지정이 출발부터 차질을 빚고 있다.
지난해 초부터 부지 매입에 나선 H기업은 평당 10만원에서 15만원까지 평균 12만원의 보상가를 제시했으나 가룡마을 지주들이 20만 원선을 요구해 사실상 협상이 결렬된 상태다.
이처럼 보상협의가 중단된 것은 공교롭게도 부지 매입을 시작한 시점인 지난해 3월부터 동해면 일대에 부동산 붐이 일면서 땅값이 크게 올라 H기업이 제시한 보상액이 지주들의 기대치에 미치지 못했기 때문이다.
특구 예정지의 70% 가량이 수자원보호지역이기 때문에 개별법으론 공장입지 지정이 안 돼 특구 지정을 통한 기업 유치를 추진하고 있는 것.
H기업은 다른 지역에 부지를 물색했으나 이마저도 여의치 않아 현재는 손을 놓고 있다.
1년 넘게 부지 매입을 못해 특구 지정이 전혀 진척이 없자 군민들 사이에서는 민자업체가 추진을 포기할 수도 있기 때문에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대명제를 위해 행정이 중재 역할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특히 동해면이 인근 통영 안정공단 배후도시로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조선특구조성을 서둘러야 한다는 여론이다.
또한 대우를 비롯 삼성조선 등 국내 굴지의 조선업계와 연계한 물류거점을 확보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또 조선관련 하청업체 유치로 인구증가와 고용창출이 늘어 지역경기가 활성화를 가져 올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지역주민들은 조선산업특구지정에 따른 군내 고등학교의 조선관련 전문학과를 개설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안하고 있다.
군은 민간업체가 추진하는 사업에 개입할 수 없다며 팔짱을 끼고 있다.
군 관계자는 “민자업체가 부지를 확보하면 특구 지정을 위한 행정적인 절차를 밟겠지만 군이 부지 매입에 관여할 수 없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