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질의 퇴·액비 생산을 위한 공동자원화 사업이 지역주민들의 민원발생, 부지를 확보하지 못해 사업추 진에 차질을 빚고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동고성농협과 고성군, 군의회 등과 공동대응체계를 구축해 민원해소, 인허가 및 부지확보 문제 등을 해결해야 가축분뇨 자원화 센터 추진이 순조롭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고성군 영오면 양산리 493-1번지 외 20필지에 경축순환자원화센터는 총 사업비 50억원을 투입해 2만1천304㎡의 부지위에 4천516㎡ 규모로 건립키로 했다.
생명환경농업의 기본인 친환경 자재가 생산을 위해 가축분뇨 등을 하루 80톤을 발효처리해 친환경 퇴비를 하루에 3천포를 생산한다는 계획이다. 동고성농협과 고성군은 축산분뇨를 자연환경의 오염원, 혐오물로 인식하였던 것을 과학적 처리과정을 도입하므로 미래농업의 최대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를 한다는 방침이다. 경축순환자원화센터는 축산농가 등에서 가축 분뇨를 밀폐 수거, 원료저장 및 혼합, 탈취시스템을 가동, 기계교반시설, 퇴적발효, 포장출하 등의 공정을 거치는 퇴비공장을 가동하게 된다.
동고성농협과 고성군은 생명환경농업을 자연 순환형으로 정착시키기로 하고 지역의 축산농가에서 생산되는 가축 분뇨 등을 자원화해 이를 농업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일체의 시설을 건립할 계획이다. 하지만 동고성농협은 사업추진 의지는 높지만 민원발생과 농협에서 추진하다 보니 토지가격문제로 사업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동고성농협 관계자는 부지확보를 위해 매일 지역민을 만나 협의를 하고 있지만 사실상 어려운 실정이라고 말했다.
주민들은 “지역주민 민원 발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농민단체, 군의회 등과 공동대응 체계를 구축해야만 가능하다”며 “사업대상부지 입지선정의 경우에도 사업부지가 민가와 인접하는 등 입지여건이 좋지 않아 2~3차례 이전한 사례도 있다”고 주장했다. 또 “사업장 부지를 선정할 때 군과 협의하는 등 신중을 기하고 군은 농지 등 관계법령 상 적정여부를 확인하는 등 적극 협조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민원해소, 인허가 문제 등 신속해결을 위한 사업자와 고성군의 협조체계 구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동고성농협 관계자는 가축분뇨 자원화센터 주변에는 휴식공간을 만들어 주민이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계획을 세우고 있다며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