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지역 유관기관단체장들의 고성에 주소를 둔 단체장이 적어 인구늘리기 시책 참여가 저조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군은 관변 유관기관단체장의 주소 기기 동참을 당부하고 있으나 별다른 실적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군은 매월 유관기관단체장 간담회를 갖고 군정추진사항이나 사회단체에서 시행하는 각종 업무 등을 홍보하고 정보를 교류하는 모임을 갖고 있다.
그러나 이들 관변단체장 유관기관장중 외지에서 발령을 받아온 단체장이 고성에 주소를 옮기는 경우는 드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박모씨는 “관변·사회단체장이 외지에 있는 단체는 사무국에서 결재 시 일일이 전화보고를 해야하는데다 단체장과의 업무협의도 늦어져 불편함이 초래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고성군이 인구증가시책의 일환으로 추진하고 있는 기관단체장 등 고성지역 주소옮기기에도 역행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무엇보다 지역 내에서 단체를 위해 열심히 일할 수 있는 사람이 단체장을 맡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이모씨는 “외지인이 단체장을 맡고 있으면 일년에 두 어차례 정도 단체장을 만날 수밖에 없다. 그것도 잠시 회의를 마치고 나면 돌아가기 바빠 업무협의를 위한 대화시간이 부족하다”며 특히 단체장이 지역여론을 수렴할 기회도 줄어들고 회원간 유대관계도 없어 자연 해당단체에 대한 결속력마저 떨어지는 것이 사실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대부분 관변·사회단체에서도 고성거주자가 단체장을 맡는 것이 타당하다며 차기 단체장을 구성할 때는 반드시 고려해야 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