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영-관광 거제 조선 고성-농업 지역발전 기대 정부 밀어부치기식 통합 반대 주민주도형 통합해야 사천시 포함한 인구 60~70만명 광역통합시 바람직 2014년까지 정부 강제통합안 제시 기본틀 추진할 듯
어경효 의원은 “행정통합은 의회와 행정이 나서서 거론하기 보다는 군민과 사회단체, 언론에서 다양한 여론을 수렴해 통합방안을 찾는 것이 좋다고 본다. 행정통합 시 장단점이 많다”면서 “앞으로 정부와 여야 국회에서 강력히 통합을 추진할 것인데 미리 고성군민들이 통합에 따른 준비를 해 실익을 잘 살펴보아야 한다. 의회에서는 군민들의 뜻에 따라 갈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박태훈 의원은 고성이 다른 인근 시군보다 앞서 통합문제를 군민과 사회단체에서 자발적으로 준비하는 것 같다. 오늘 이 자리가 고성군의 발전에 좋은 첫 모임이 될 수 있길 바라며 통합 시 고성군의 실이익을 먼저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호원 고성군농민회장은 “3개 시군의 행정통합을 어떻게 해야할지 고민했으나 아직 그 대안점이 나오지 않고 있다. 하지만 역사적으로 고성 통영 거제는 과거 110년전에 한 지역 문화권이었다. 따라서 3개 시군 통합은 가장 잘 맞는 통합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정부에서 인센티브를 과감하게 준다고 해서 통합을 서둘러서는 안된다”고 주장했다.
이 회장은 “고성군만이 짝사랑을 하는 식의 행정통합은 안된다. 국토가 U자형으로 개발되는데 고성군이 남해안시대 프로젝트사업에 미흡하게 포함돼 소외되고 있는 처지이다. 행정통합 논의는 구체적인 대안과 체계적인 토론을 거쳐 군민의견을 모아야 한다”고 말했다.
김일균 새마을운동고성지회장은 “고성군이 새로운 지방자치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행정통합을 서둘러야 한다. 3개 시군이 통합하면 조선·관광·농어업 등이 살고 지역경제도 크게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박재하 고성군상공협의회 사무간사는 “고성군민들이 통합을 위해 발빠르게 대안을 준비하는 자리가 마련돼 그 의미가 깊다고 생각된다. 오늘을 시발점으로 앞으로 행정통합 논의를 구체적이고 정례화하여 군민 뜻을 모아나가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고 밝혔다.
이영춘 한나라당 경남도당 부위원장은 “행정통합에는 찬성이다. 과거 최형우 전 국회의원이 지방자치단체 행정통합을 거론한 바 있다. 현정부에서 성급하게 추진하고 있는 것 같다. 통합의 밑그림이 그려지고 많은 대안이 나온 후 국민 공감대를 얻어야 한다. 오늘 이 모임을 통해 우리 고성지역도 찬반 의견을 나누는 자리가 자주 열려야 한다”고 말했다.
백두현 민주당중앙당 부대변인 은 “앞으로 고성 통영 거제시 행정통합에는 찬성한다. 제주특별자치도가 정부의 행정통합 모델 케이스로 진행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간 서로 추구하는 이해폭이 커 행정통합은 신중하게 추진돼 공감대를 형성해 나가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황봉관 민노당고성지역협의회 위원장은 “정부에서 일방적으로 밀어부쳐서는 안된다. 군민주도로 고성 통영 거제시 통합에 대해 논의해 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오용석 고성라이온스클럽 회장은 “행정통합 시 통영과 거제시에 고성군이 끌려 가서는 안된다. 고성군의 주도하에 통합분위기를 만들어 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수일 민주평통고성군협의회장은 “3개 시군 행정통합에 적극 찬성한다. 거제시의 조선산업, 통영시의 관광산업, 고성군의 농업·조선·관광산업을 서로 잘 살리면 시너지 효과로 경쟁력이 더욱 높아지고 고성 통영 거제시가 상생하는 효과를 가져오게 될 것”이라며 “우리 후손들에게 잘사는 통합시를 만들어 물려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판진 고성농협조합장 “인근 시군의 경우 행정통합 찬반 양론이 거세게 제기되고 있다. 행정통합은 정부의 농협 통폐합과 똑같은 정책이라고 보여진다. 신중히 다뤄야 할 문제이다. 고성 통영 거제시가 통합되면 서로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이제 도농간 통합을 하지 않으면 고성군이 살길을 잃게 된다”는 견해를 밝혔다.
최 조합장은 이번 간담회 이후 많은 군민들의 토론과 논의를 거쳐 ‘옥동자’를 낳는 각오로 통합시를 만들어 나가자고 말했다. 윤선옥 고성읍주민자치위원장은 “3개 시군 통합은 찬성한다. 하지만 군단위가 시지역에 통합되면 불리한 점이 많을 것이라며 군민들이 걱정하고 있는 것 같다. 다른 시군의 통합과정에서 쓰레기장 등 혐오시설은 군지역이나 지방재정이 약한 지역에 유치된다며 반대하는 사례도 보도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도 신중하게 접근하여 해결책을 모색해 두어야 할 것이다”고 말했다.
이영태 고성사랑회 회장은 “3개 시군 행정통합문제를 고민하고 장단점을 파악하여 군민 모두가 공감대를 형성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강태규 영현면청년회장은 “영현 영오 개천면은 진주권역에, 하일 하이면은 사천·삼천포권역과 가까워 생활권을 같이 하고 있다. 통영 거제와의 통합 시 서부고성지역 주민들의 반대가 심할 것으로 우려된다”고 말했다. 정옥련 한국부인회고성지회장은 “정부가 강력히 추진 중인 행정통합에는 적극 찬성한다. 거제시가 부산에 통합을 희망한다는 말을 들었다. 거제시는 고성 통영에 반드시 통합돼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 문제를 3개 시군이 화합하여 슬기롭게 풀어갔으면 한다”고 밝혔다.
이경숙 적십자봉사회 고성지역협의회장은 “행정통합은 이제 시대적 과제이며 대세인 것 같다. 언제 통합될지는 모르겠지만 3개 시군이 통합되면 시너지효과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허원태 두보식품 대표는 “고성 통영 거제시 3개 시군 통합에는 반대다. 사천 남해 하동까지 포함한 인구 60~70만 통합시로 행정구역을 묶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판단된다. 사천시가 진주시와 통합에는 반대가 많다. 따라서 고성 통영 거제 사천시의 행정통합안을 놓고 추진했으면 한다”고 주장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