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고성신문 | |
매정마을주민과 삼호조선 간 협상결렬
조선산업특구로 지정된 양촌·용정지구 공사착공이 지연되고 있다. 삼호조선은 동해면 양촌·용정지구 사업을 행정절차를 완료하고, 주민의 협의를 거쳐 착공을 진행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착공과 관련해 매정마을주민들이 환경성피해보상금액으로 30억원을 삼호조선에 보상해 줄 것을 요구했다. 삼호조선은 30억원은 피해보상 금액으로 너무 큰 금액이라며, 경제도 어려운 상황에서 10억원만 보상해 줄 것을 제시했으나, 서로 간의 협의점을 찾지 못하고 공사가 지연되고 있다.
이에 지난 11일 매정마을노인회관 2층 삼호조선사무실에서 삼호조선 임문규 사장과 회사관계자, 김호준 동해면장, 군청관계자, 매정마을 환경피해보상대책위원회 위원 등 30여명이 모인 가운데 양촌·용정지구 착공관련 피해보상 협의를 가졌다.
매정마을 환경피해보상대책위원회 이호일 위원장은 “삼호조선의 공사가 지연되고 있다. 문제가 좋은 방향으로 해결되어 사업이 하루빨리 진행되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삼호조선 관계자는 “현재 전 세계적인 경기침체로 조선업계가 어려움에 처해 있다. 이번 공사도 경기상황에 따라 1차와 2차로 나눠 착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한 “현재 보상협의 문제로 공사가 지연되고 있지만, 협의만 된다면 내일이라도 당장 공사를 착공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환경피해보상대책위원은 “회사도 사정이 있겠지만, 지역민들이 겪는 피해도 막심하다. 공사를 시작한다고 해서 생업도 못하고 있다. 회사가 주민들의 피해를 감안해서 보상을 해 줘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삼호조선 임문규 사장은 “주민들의 피해사항에 대해서는 당연히 보상이 필요하다. 그러나 회사와 마을주민의 피해보상금액의 입장 차이가 너무 크다. 마을주민들은 너무 코앞의 이득만 보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다른 지역에서는 지원금까지 줘가며 기업체를 유치하고 있다. 사업이 준공되고 활성화되어 이득이 생기면 복지시설 등의 다양한 혜택이 주민들에게 갈 것”이라며 기업이 성장하면 더불어 지역도 발전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환경피해보상대책위원은 “마을에서도 30억을 무턱대고 제시한 것은 아니다. 공사가 시작되면 주민들이 어릴 때부터 살던 집과 산, 들, 논 들이 사라질뿐만 아니라 생업에 있어서도 피해가 크다”라고 말했다.
임문규 사장은 “회사에서 돈을 아끼자고 하는 것이 아니다. 경제사항이 어렵지만 타 지역과 비교해 비슷한 수준으로 보상을 해주는 것이다. 회사에서는 최대한 줄 수 있는 금액이 10억이다. 이 금액 이상으로는 불가능하다”라고 말했다.
이날 삼호조선과 매정마을 환경피해보상대책위원회는 장시간 협의를 시도했으나, 서로 간의 협의 점을 찾지 못하고 결렬됐다. 삼호조선과 매정마을 환경피해보상대책위원회는 추후 서로간의 다른 제시안을 가지고 협의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