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군 동해·거류면 등 진해만에서 미더덕을 생산하는 어민들은 어장 청소 방법을 개선해 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고성군은 16억5천만원의 사업비를 들여 지 난 1월부터 동해·거류면 등 2천944㏊ 바다 아래의 각종 오·폐물을 거둬들이는 동해·거류 진해만 정화사업을 내년 1월까지 시행할 계획이다.
현재 고성군 동해·거류면 등 200여 가구의 어민들은 176㏊의 미더덕 양식장에서 연간 5천톤을 생산해 150여억원의 소득을 올리고 있다.
그러나 미더덕 생산 어민들은 광활한 바다 밑을 한꺼번에 형망선을 이용해 청소하고 나면 1~2년 동안은 생태계 변화로 미더덕 유생보다 물 조망, 홍합 등의 기타 잡유생이 부착될 가능성이 크다며 면적을 나눠 시행하는 방법과 잠수부를 동원해 청소하는 방법 등 개선책을 요구하고 있다.
어민들은 미더덕 양식어장 아래에는 굴 양식 어장과는 달리 굴 조가비가 없을 뿐만 아니라 부자에 묶는 연승 줄 또는 그물만이 깔려 있어 어장을 철거하지 않고도 잠수부를 활용해 청소를 할 수 있고, 어장복구에 따른 예산도 절약할 수 있는 합리적인 방법을 촉구하고 있다.
특히 어민들은 “군이 한꺼번에 정화사업을 펼칠 경우 어장 철거에 따른 홍수출하로 평균 1㎏당 3~4천원 선에 거래되는 미더덕 가격이 1천원 정도로 하락하는 어려움이 생길 수 있다”는 입장이다.
또 “현재 인근 마산시는 잠수부를 이용해 미더덕 어장 청소를 시행하고 있는 점을 볼 때 고성군은 어민들의 고충을 여전히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라고 주장했다.
미더덕 양식 어민 진모(53·고성군 거류면)씨는 “고성군이 바다정화사업에 대비해 사전에 충분한 기간을 두고 체계적인 계획을 세워야 하는데도 지난 2월 중순께 어촌계장을 통해 4월 말까지 어장 철거를 지시했다”라며 불만을 토로했다.
어업인과 군민들은 바다청소를 행정부서에서 관리감독을 철저히해 군민혈세가 제대로 사용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최근 지역언론에 보도가 나자 군청 해양수산과는 뒤늦게 현장을 점검하는 등 뒷북행정을 펴고 있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