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문화예술인을 육성하고 문화발전을 위한 고성군문화발전기금을 조성하자는 여론이 일고 있다.
지역문화예술인과 군민들은 지방화시대에 지역문화를 잘 보전,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며 이를 위한 지역문화예술인 육성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군은 이미 고성군교육발전기금 50억원을 모금한데 이어 농업발전기금 80억원을 모금하고 있다. 현재 고성군농업발전기금은 40억원이 모금돼 있다. 특히 고성군여성발전기금도 지난 2007년까지 5년간 3억2천여만원(이자수입 포함)을 모금했다.
이같이 각종 기금이 모금되고 있는데 반해 정작 지역문화발전을 위한 기금은 전혀 모금되지 않고 있다. 아직도 문화분야는 축제나 소비성이라는 인식을 갖기 일쑤다.
하지만 문화는 굴뚝없는 산업이며 문화콘텐츠를 통한 고부가가치 산업이다. 이 때문에 고성지역의 대표적인 문화예술단체인 고성오광대와 고성농요의 경우 열악한 예산운영으로 젊은 후진을 양성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농업과 교육기금을 모아 지원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우리 고성만의 특색있는 문화분야의 지원이 더 소중하다. 고성군문화발전기금을 조성해 문협, 미협 음협 등 지역문화예술단체 지원사업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을 지니고 있다. 열악한 예산 때문에 문화단체마다 쥐꼬리만한 지원금을 받아 전시회나 각종 행사를 열고 있다.
고성군문화재단을 설립, 문화기금을 조성하여 이자수입 등을 잘 활용해 지역문화발전을 모색해 나가야 한다. 특히 지역문화예술인을 육성 관리하는 것이 더욱 시급하다.
지역 내 젊은 문화예술인이 생계나 지역활동 여건이 안돼 서울 부산으로 떠나고 있다. 문화예술인을 육성해야 하는 당위성과 이 문제의 심각성을 우리 군민들은 잘 모르고 있다. 고성군이 농업과 조선 엑스포 등 관광산업이 발전하면서 우리지역의 소중한 문화예술인재를 육성하는데는 소홀하다.
군민들과 의회에서도 문화재단과 기금을 마련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공감하고 있다. 경남도문화재단이 구성되면 고성군도 추이를 지켜본 후 고성군문화재단을 조례를 제정해 기금을 마련한다는 구상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고성군문화재단이 구성되면 소가야보존회, 공룡나라축제, 엑스포조직위원회 등 문화단체와 고성문화원 예총고성군지부와 통합운영해 예산을 지원하는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
지금부터라도 고성군문화발전기금 마련방안을 잘 세워 문화산업을 육성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