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모씨 등 4명 줄줄이 불려가 참고인 조서 이사회 결의사항 회신 없어 이사 무시 처사 조만간 이사회 개최 김 원장 거취문제 거론 예산 한푼도 내려오지 않아 업무 중단 사태
다단계 조직·판매 등으로 물의를 일으켰던 김권조 고성문화원장이 이번에는 허 모 감사를 명예훼손으로 고소하면서 문화원 관계자들이 줄줄이 경찰조서를 받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다.
지난 3월 김 원장은 자신은 다단계 조직·판매를 하지 않았는데 일부에서 음해를 하고 있다며 허 모씨를 명예훼손으로 고성경찰서에 고소했다. 이로 인해 김 원장에 이어 이모씨, 강모씨, 박모씨, 정모씨 등이 줄줄이 참고인 조서를 받았다.
이 과정에서 이모씨는 김 원장이 문화원 이사회 등에서 자신이 다단계를 조직·판매하고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박모씨는 자신이 김 원장의 다단계조직 일원으로 돼 있고 판매수익금이 자신의 통장에 입금된 사실이 있었다고 진술하고 그 내역을 공개한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그동안 김권조 원장이 강력히 부인해 오던 다단계 조직·판매 행위가 사실로 드러난 셈이다.
고성문화원 한 관계자는 “원장이 다단계 등으로 물의를 일으킨 것도 망신스러운 일인데 이제는 한 술 더 떠 김 원장이 자신의 명예회복을 위해 문화원 관계자들을 줄줄이 경찰로 불러들여 조서를 받게 하는 것은 고성문화원의 명예를 실추시키는 일”이라며 문화원 앞날이 걱정된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지난달 13일 고성문화원이사 일동은 김권조 원장에게 △강사료 등 집행 △다단계판매 행위 근절 등 5가지 비상회의 결의사항을 전달하고 4월 13일까지 회신을 요구했으나 지금까지 아무런 통보를 해 오지 않고 있다.
이에 대해 이사들은 김권조 원장이 이사회에서 결의된 사항에 대해 아무런 답변을 보내지 않는 것은 문화원 이사 전체를 무시하는 처사라고 비난하고 있다.
따라서 22일 허보영·강부관 감사는 김권조 원장과 비상회의 결의사항 작성이사인 전종석, 제삼호, 정호용 이사에게 각각 △원장 거취문제 건을 안건으로 이사회 소집을 요구하는 공문을 보냈다. 이 요구가 받아들여지는 대로 이사회를 개최해 김권조 원장의 거취문제가 판가름 날 것으로 보인다.
한편 고성문화원은 이번 일련의 김 원장 사태로 인해 군예산도 편성되지 않고 있는 등 운영 전반이 파행국면을 맞고 있다. 이정봉 사무국장은 “군에서는 이번 사태가 어떤 형태로든 마무리가 돼야 예산을 내려 줄 것이라고 말했다”면서 예산이 없으니 문화사업이 모두 중단된 상태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