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단계 조직·판매와 예산변칙 운용 등의 논란으로 이미지를 구긴 권조 고성문화원장이 이번에는 언로마저 틀어막는 횡포를 일삼았다.
13일 오전 10시 고성문화원 회의실에서 열린 2009년도 제2차 이·감사회의에서 ‘신문보도에 대한 원장 입장 표명’을 한다기에 취재에 들어갔다.
회의실에 들어서자 마자 김권조 원장은 “취재요청을 하지 않았으니 기자는 나가달라”는 것이었다. 그리고 이·감사가 아닌 사람은 회의실에 일체 들어올 수 없다며 무조건 나가라는 것이다.
문화원 이사회가 언제부터 비공개가 됐는가. 그러면 왜 지난 이사회 때에는 기자의 취재를 허용해 놓고, 유독 이번 이사회만 기자 출입을 통제한다는 것인가.
이를 지켜본 일부 이사들은 “뭔가 뒤가 구리기 때문일 것”이라며 오히려 떳떳하고 당당하다면 취재를 꺼려할 이유가 하나도 없었을 것이라고 전했다.
김 원장 재임기간 만 6년동안 이사람 저사람 입에서 갖가지 불미스런 소문이 나돈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는 대목이다. 김권조 원장이 정당하게 취재하려는 기자를 내모는 순간 고성군민의 알 권리도 철저하게 짓밟혔다.
기자는 취재요청을 한다고 해서 무조건 취재에 응하는 것도 아니며 취재를 하지 말라고 한다고 해서 안하는 것도 아니다. 왜? 군민의 알 권리를 충족시키고, 정론직필을 사명으로 여기기 때문이다. 고성문화원은 김권조 원장의 독점물도 소유물도 아니다. 군민과 향토사학자, 회원 등 수많은 사람들의 끊임없는 관심과 참여를 자양분으로 고성의 정체성을 일깨우는 정신적 지주 역할을 하는 곳이다.
이번 일을 계기로 김 원장이 기자의 역할과 앞으로 고성문화원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신중히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