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김권조 고성문화원장의 다단계 판매로 인한 파문이 커지면서 ‘자진사퇴’론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본지 2009년 3월 6일자 2·13면 보도) 12 ‘고성문화원을 걱정하는 문화원 회원 일동’은 “이번 김 원장에 대한 일련의 파문은 사회의 여론이 수년간 되풀이 됐으나 누구하나 이의를 제기하지 못하고 여태껏 수수방관한 잘못도 크다”며 원장은 물론 문화원 임원진 모두 공동책임을 지고 사퇴할 것을 촉구했다.
이에 앞서 9일 고성문화원장을 역임한 황경윤·제두근 전 원장이 김권조 원장을 직접 만나 자진사퇴를 권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황경윤 전 원장은 “고성문화 발전에 기여하는 마음으로 부지까지 희사하면서 고성문화원이 군민의 정체성 확립과 정신적 지주로 큰 버팀목이 되길 바랐는데 후배들의 불미스러운 소식을 듣게 되니 허무하다”면서 긴급 이사회 소집 이전에 원장이 모든 책임을 통감하고 자진사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고성문화원 허모·강모 감사는 지난 5일자로 △다단계 판매로 인한 고성문화원의 명예손상의 건 △향토사연구소 보조금 잔액 집행의 건 △서예강사비 미집행의 건 △원장의 거취문제의 건 △고성문화 11호 발간 원고료 건 등 5개의 안건을 논의하기 위해 긴급 이·감사회의를 소집해 놓고 있다. 긴급 이·감사회는 13일 오전 10시 문화원 2층 회의실이다.
허모 감사는 “이사와 회원들이 이번 원장의 일련의 사태를 그냥 묵인하고 넘어가서는 안된다면서 긴급 이사회를 개최해 원장의 거취문제를 분명히 해야한다는 뜻에 따라 긴급 이사회를 소집하게 됐다”고 밝혔다.
그러나 김권조 원장이 이 사실을 알고 같은날 같은 시간에 2009년도 제2차 이·감사회의를 소집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다만 김 원장이 소집한 장소만 문화원 3층 회의실이다. 김 원장은 주요 안건으로 △회비미납(3년 이상) 회원 제명의 건 △원사 내부수리 설계의 건 △신문보도에 대한 원장 입장 표명의 건 등이다.
이에 대해 일부 회원들과 군민들은 “이·감사들이 같은날 같은시간에 회의를 소집하면 과연 어느쪽에서 회의를 해야 할 것인지 혼선을 겪게 될 것이 뻔하다”면서 소신있는 판단이 뒤따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권조 원장은 “감사가 긴급 이·감사회의를 소집할 때는 원장의 최종 승인을 받아야 함에도 불구하고 원장 승인을 받지 않고 일방적으로 회의를 소집했다”면서 절차상 맞지 않는 이사회 소집이기 때문에 올 2차 이·감사회의를 소집하게 된 것이라고 밝혔다.
김 원장은 지난호 본지 보도 중 상용법례 발간 예산 변칙운용(서예강사료 미집행 80만원)에 대해 월·금요일 서예반이 2반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이사회 결의에 따라 100만원을 지급하고 남은 80만원과 향토사연구소 잔여예산 51만원은 다른 용도로 쓸수 없기 때문에 책자를 만드는 비용으로 지출했다고 해명했다.
특히 김 원장은 다단계 조직·판매를 했다는 여론에 대해서는 특정 제품 생산회사에 투자를 한 것이지 결코 군민과 회원들을 대상으로 제품을 판매한 사실은 없다고 주장했다. 또 그는 건강특강을 한 것은 자신이 아미노산을 먹고 건강을 회복한 경험담을 설명했을 뿐이라고 해명했다.
한편 이번 일련의 사태를 지켜본 대다수 군민들은 고성문화원이 진정한 문화사업을 추진해 문화원 본연의 업무에 충실해야 할 것이라고 충고했다. 이와 함께 고성문화원은 투명한 예산집행을 하고, 행정도 관리감독을 철저히 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