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문화의 수장인 고성문화원장이 다단계로 건강보조식품을 회원 등에게 강매했다는 소문이 불거지면서 원장으로서의 자질론과 본분을 지켜야 한다는 목소리 거세지고 있다.
거기다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지는 격’일까. 고성문화원에서 발간하는 생활의례 등을 모은 책자 ‘상용의례’에다 자신이 판매하는 건강보조식품에 관한 홍보를 주된 내용으로 하는 건강상식을 20여 페이지 분량으로 게재해 놓았다.
이 책자 발행 예산 또한 심상치 않다. 회원 강사료를 지급하지 않은 것과 향토사연구소 예산 등 130만원을 변칙 운용한 것이다. 일이 이쯤되자 문화원 내부에서는 비상 이사회를 소집해 정관에 의거, 징계조치가 내려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문제는 문화원장의 태도다. “법관이 자신의 업무 외에 시를 쓰는 것도 문제가 되느냐?”는 주장을 펴면서 자신 또한 알고 있는 건강상식을 강의했을 뿐 아무런 문제될 것이 없다며 자기합리화에만 급급하고 있다. 심지어 4일 향토사연구소 정기총회 자리와 기자 취재에서 조차 자신이 판매하고 있는 문제의 건강보조식품은 ‘만병통치 약’이라고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한 회원은 “다단계 판매는 분명 문화원장으로서의 품위를 손상시킨 일이며, 투명하지 못한 예산집행은 원장의 책임이 크다”고 지적했다. 자신의 잘못을 솔직히 시인, 사과하고 이같은 일이 되풀이 되지 않도록 해야함에도 자기합리화에만 매달리면 사태는 더욱 악화된다는 것이 문화원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지금 고성은 문화불모지다. 유서깊은 소가야의 문화를 연구하고 보존하면서 고성의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힘을 모아야 할 때이다. 그나마 이 일은 향토사연구소와 고성향교, 그리고 몇몇 뜻있는 향토사학자에 의해 명맥이 유지되고 있을 뿐이다.
그 지역의 문화원장이라면 적어도 지역민들로부터 존경과 신뢰 받는 덕망있는 자리임에는 틀림없다. 하루빨리 이사회가 자정능력을 발휘해 이 문제를 마무리 지어 문화원이 정상화를 되찾아야 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