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고성신문 | |
정작 재학생 고통 아랑곳하지 않아
C중학교 총동문회가 모교 교장 성추행 파문과 관련, 토론회를 가졌으나 근본적인 대책마련은 뒷전인 채 학교 명예 실추에 따른 교사들의 책임추궁에만 열을 올려 교사, 피해 학부모들로부터 원성을 사고 있다.
총동창회는 지난 7일 이 학교 교사, 학부모, 학교운영위원, 고성교육청, 경남가족상담교육원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토론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동창회측은 문제의 교장에 대한 처벌과 피해를 당한 후배들의 상담이나 치료보다는 내부적으로 조용히 해결할 수 있는 일을 언론에 터트려 학교 명예가 실추된데 대해 이 학교 교사들에게 책임을 추궁하며 해결책을 요구했다.
동문회 관계자는 “세대차이에 따른 문화와 이해의 관점에서 본다면 할아버지가 귀여워서 손자같은 학생들의 성기를 만질 수도 있는 것 아니냐”며 “설령 성추행을 했다고 하더라도 자체적으로 조용히 해결할 수 있는 일을 굳이 언론에 공개해 전국적으로 망신을 시켜야 했느냐”고 따졌다.
또 “이번 일이 성추행이라면 유아들의 기저귀를 갈아주는 것도 성추행으로 봐야 한다”며 오히려 교장 편들기에 급급한 느낌마저 들게 했다.
또한 치료목적으로 학생들을 지압한 것을 두고 성추행이라고 하느냐며 아예 교장을 대변하는 듯한 발언을 서슴지 않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동창회측은 피해학생들을 대상으로 진정서를 작성케 한 이유와 교장과 교사들의 평소 관계에 대해 질문하면서 이번 일로 교장이 사퇴하면 현 교감이 승진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는 것을 이용, 인사적체 해소를 위한 음모가 아니냐는 등의 질문을 쏟아내 이번 성추행 파문에 따른 본질적인 해결방안에 대해서는 아예 접근조차 하지 않고 오히려 교사들에 대한 불신감을 조장하는 듯한 인상마저 풍겼다.
이에 대해 한 교사는 “교장의 성추행이 2년간 전교생 절반을 대상으로 지속돼 왔으나 좀 더 빨리 발견하지 못하고 아이들이 피해를 입게 된데 대해서는 교사로서 책임감을 느낀다”고 말했다.
이 교사는 “이렇게 확산되기 전 지난 5월께 일부 학생들로부터 ‘교장이 교장실로 불러 성기를 만진다’는 얘기를 들었으나 심각한 수준으로 여기지 않고 교장에게 더 이상 그러지 말라는 얘기를 했다”고 덧붙였다.
또한 이 학교 교감도 교장에게 학생들을 교장실로 불러 지압(교장이 내세우는 명분)하는 것을 그만둘 것을 전했으나 그런 교사들의 충고는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말했다.
또 “동창회에서 학교 명예를 실추시켰다고 하는데 학교 명예를 실추시킨 것은 교사가 아니라 교장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사들에게 문제를 떠 넘기려 하느냐”고 말했다.
특히 한 교사는 “성 피해는 피해자의 입장에서 해결돼야 하는데 학교 자체적으로 조용히 해결하라고 하는 것은 가해자가 최고 경영자인 교장인 점을 감안할 때 이는 문제 해결이 아니라 은폐하라는 것과 다름 없다”며 “동창회에서 가해자인 교장을 감싸는 듯한 발언은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같은 공방이 오가자 일부 교사들은 문제의 본질을 외면한 토론회는 더 이상 진행할 가치를 못느낀다며 토론회장을 빠져나가기도 했다.
경남가족상담교육원 김희순 이사는 “모든 정황으로 미루어 명백한 성추행임에도 불구하고 학교 명예 훼손에 가려져 피해학생들의 정신적 고통은 헤아리지 못하고 있는 것이 안타깝다”고 말했다.
또 “청소년기의 성적 피해는 평생을 안고 가는데 하루빨리 이번 피해학생들의 상담과 치료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고성농민회, 공노조 등
사회단체 성추행 진상 촉구
군내 각 사회단체가 성추행 학교장의 즉각적인 퇴진과 교육당국 및 사법당국의 엄정한 조사를 촉구하고 나섰다.
9일 전교조고성지회, 고성농민회, 전국공무원노조고성지부, 참여와 자치를 위한 고성시민모임, 고성사랑회, KT노조 고성지부 등 군내 14개 사회단체에서 ‘성추행 문제 해결을 바라는 사회 제 단체’라는 이름으로 성명서를 발표했다.
이들 단체는 성명서에서 “학생들을 바른 길로 이끌어야 할 최고 경영자인 학교장이 성에 가장 예민한 사춘기 학생들에게 성적 수치심을 안겨준 성추행 행위는 절대로 용서할 수 없다”고 밝히고 있다.
또 피해학생 부모들은 자녀들에게 불이익이 생길 것을 염려해 이번 사태에 침묵하고 있는 고통은 이해하지만 오히려 사건을 은폐 또는 무마하려는 자들에게 빌미를 줄 뿐이라며 부모로서 정당한 요구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와함께 ▲ 성추행 자행한 학교장은 성폭력의 도의적, 법적 책임을 지고 교육 현장을 즉각 떠나라
▲ 교육당국과 사법당국은 진상을 철저히 조사하고 해당 학교장을 엄중하게 처벌하라
▲ 학생인권보호가 최우선이며 학생들에게 이중의 상처를 주어서는 안 된다. 따라서 고성교육청은 학생들의 성폭력 휴유증을 치료할 수 있는 치료사 초빙 등 모든 노력을 기울일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에 즉각 나설 것을 촉구한다
▲ 다시는 이러한 성폭력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전문 성상담소 설치 등 다양한 대책을 강구할것을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