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고성신문 | |
전국적으로 교복가격 논란이 끊이지 않는 가운데 고성 역시 예외가 아닌 것으로 나타나, 학부모들의 부담이 늘 것으로 보인다.
현재 고성군내 교복가격은 상하의 기본가격이 18만 원 정도로, 블라우스나 셔츠, 바지 등 여벌을 추가하게 되면 25만 원을 훌쩍 넘는다. 이러한 가격은 경기침체로 오히려 가격이 내려간 성인 정장 한 벌과 맞먹는 가격이다.
한 학부모는 “모든 물가가 올라 생활 전반에 부담을 주는 상황에서, 교복가격이 인상되는 바람에 새 학기 아이들에게 드는 비용마저 큰 가계부담이 된다”며 “특히 교복의 경우 몸매를 강조하는 디자인이나 유명연예인이 광고를 하기 때문에 비싼 가격을 당연시하고, 또 브랜드 교복을 고집하는 아이에게 비싼 비용을 감수하고 사줄 수밖에 없어 난감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특히 고성은 타 지역과 달리 교복 공동구매 등이 진행되지 않아 교복가격의 부담은 고스란히 학부모에게 돌아간다.
교육청 관계자는 “고성의 경우 개별구매수가 많아 교육청 차원에서 교복 공동구매 등을 실시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따르는 것이 사실”이라며, 학부모들의 참여가 저조할 뿐 아니라, 교복업체가 다양하지 않기 때문에 공동구매를 실시하기 힘든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현재로서는 교복가격 안정을 위한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지난해 중소교복업체들의 모임인 (사)한국교복협회에서 최고급 원자재를 이용해 교복을 제작한 결과 한 벌당 3~4만원의 마진을 포함해 남학생 동복의 경우 10만3천200원, 여학생 9만6천260원인 것으로 확인됐으며, 이는 최소의 이윤만 남기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매년 반복되는 교복가격 논란은 대형교복업체의 과도한 마케팅과 이윤 추구가 이유로 보인다.
모 교복사의 대표는 “섬유 원자재의 원료인 석유값이 올라 어쩔 수 없이 가격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경기 침체로 인한 원자재 가격 상승이 교복업계에까지 영향을 미쳤기 때문에 가격 상승은 어쩔 수 없고, 현재 수준에서 인하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교복은 일반 의류와는 다르게, 재고 판매가 가능하고 재고상품을 대리점에서 모두 소화해야 하기 때문에 재고물품을 신제품과 섞어 판매하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군내에서 운영 중인 교복업체들은 최근 들어 교복의 제조년월일을 표시해야하는 법령이 시행됨에 따라, 재고품과 신제품의 표기 및 판매에 대한 비용을 대리점에서 떠안게 되면서 대리점 측의 재고 부담이 늘어 교복 가격의 인상은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교복협회 경남권 담당자는 “각 지역마다 교복업체의 마진율이 다르기 때문에 교복가격의 안정을 위한 조례제정 혹은 교육청 등 관할 기관에서 철저한 조사를 거쳐 턱없이 비싼 교복가격에 학생과 학부모가 부담을 느끼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