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고성신문 | |
열린고성포럼(회장 김남칠)은 지난 15일 ‘고성문화와 발전방향’이라는 주제로 제2회 열린고성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에서는 김열규 교수가 기조강연을 맡아 문화의 정의에 대해 설명하고, 한국문화의 문제점 등에 대한 지적과 함께 개선해야할 과제에 대해 열강을 펼쳤다.
특히 김 교수는 자신의 어린 시절 겪은 이야기와 고성에 이사와 겪은 에피소드들을 소개하며 이러한 문화들이 남아있는 고성이야말로 천혜의 환경을 갖춘, 국제적인 도시로 성장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 고장이라고 강조했다.
이어진 주제발표에서 이옥진 전 고성향토사연구소장은 “문화가 생활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한 결과물이므로 우리는 이것을 대할 때 머리로만 알아서는 안되고 가슴으로 느끼는 것만으로도 부족하며, 온몸으로 즐겨야 한다”고 강조하며, 문화를 즐기기 위해서는 문화에 대해 기본적인 지식을 가지는 것이 문화를 즐기기에 필수적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고성의 문화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박물관 건립이 시급하며, 전문학예사 채용, 창작물의 전시공간 확보 등이 절실하다고 주장했다.
진옥섭 전통예술연출가는 현재 고성이 대진고속도로의 개통과 거가대교의 개통으로 그야말로 사통팔달의 중심부가 되고 있다고 설명하고, 고성이 더욱 큰 발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들러가는 곳이 되도록 먹을거리와 볼거리를 더욱 개발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진 씨는 조선특구나 산업단지 등을 통한 인구유입도 고성의 발전을 위해 중요하지만, 그보다 서둘러야할 것이 축제의 구조조정을 통한 경제효과 유발, 군민의 화합이 우선이 돼야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이 중 가장 시급한 문제는 문화를 전담하는 담당자의 채용으로, 전문적인 업무가 가능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포럼에서는 발제자 및 참가자들은 고성의 발전을 위해서는 문화적 발전이 우선이 돼야한다는데 동의하고, 이를 위해서는 축제 시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문화재 보전, 또 고성군의 인구유입을 위한 교육환경 개선 등이 모두 고성의 발전을 가져오는 사업으로 추진돼야할 것이라는 의견이 나오기도 했다.
특히 현재는 예술만이 아니라, 산업 경제 행정 종교 등이 모두 문화이므로 이에 대한 개념을 손질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결론짓고, 이와 함께 고성의 특성을 살린 축제 프로그램의 개발이 시급하다는데 의견을 모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