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고성신문 | |
건설폐기물처리공장을 지으려는 코데코측과 주민 행정이 또다시 갈등을 빚고 있다.
고성군 고성읍 이당, 교사, 대독리 등 6개 마을주민들이 마을 인근에 건설 기물 처리사업장이 들어서려하자 크게 반발하며 반대에 나서고 있다.
이들 주민들은 고성읍 이당리 국도 33호선 공장부지 입구에 ‘건설폐기물 공장건립 절대반대’, ‘생명환경농업 발원지에 폐기물이 웬말이냐’, ‘맑은물 향기마을 돌가루와 먼지로 망칠건가’, ‘자연환경 잡는 건축폐기물 공장이 웬말인가’라는 15개의 현수막을 줄줄이 걸어놓고 반대하고 있다.
지난 29일 각 마을이장 및 새마을지도자 등이 군청을 다시 항의방문해 코데코측의 건설폐기물 허가를 백지화할 것을 요구하며 강하게 항의했다. 이에 고성군은 지난해 11월경 코데코측에 대체부지를 선정하여 타진하였으나 협의가 안돼 무산된 상태라고 밝혔다.
군은 또 수차례 업체와 주민과의 면담을 주선하였으나 업체의 반대로 결렬돼 별다른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군 관계자는 “주민과 업체와 다각도로 합의점을 모색하고 있으나 쉽게 해결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며 이번 사태를 설명했다.
따라서 군은 코데코측에 다른 장소에 대체부지를 제공해 협의 중이나 이마저 협상이 결렬될 경우 허가는 해 주지 않겠다는 기존 방침을 밝히고 있다.
고성읍 이당리 이곡, 면전마을, 대독리 독실, 대안마을, 교사리 교동, 사동마을 등 6개 마을 2천여 주민들은 마을 인근에 건설폐기물 처리장이 들어서면 소음과 날림먼지 등의 공해에 시달려 생활에 엄청난 피해를 입는다며 결사 반대하고 있다.
또 건설폐기물 처리장이 들어서면 인근 고성읍내까지 날림먼지가 날아 들어 빨래도 마음놓고 널지 못하고 호흡기 질환 등의 피해가 우려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김환구 씨는 당초 상리면에서 주민들의 반대로 사업이 중단된 건설폐기물공장을 읍과 인접한 이곳에 다시 짓겠다는 것은 고성군민을 우롱하는 기업의 배짱이라며 끝까지 반대투쟁을 벌여 백지화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또 주민들은 건설폐기물을 실은 대형트럭이 드나들면서 각종 교통사고마저 우려된다며 반발하고 있다.
지난해 7월 코데코(주)가 고성군 고성읍 이당리 370번지 외 3필지에 진입로와 사업장 등 8천275㎡ 부지면적에 1일 1천600톤의 처리 능력을 갖춘 건설폐기물 중간처리사업장을 건립하기 위해 고성군에 인허가를 신청하고 추진 중에 있다.
이에 앞서 지난해 8월 13일 고성군이 건설폐기물처리 인허가 신청에 따른 민원제기가 예상돼 입지 등 민원조정위원회 심의를 거쳐 불가 통보를 내렸다. 하지만 코데코(주)가 이에 불복하고 경남도에 행정심판을 청구, 10월 29일 청구인의 손을 들어주는 승소결정이 내려졌다.
이 처럼 주민과 업체, 행정간에 건설폐기물공장 건립을 놓고 첨예한 대립을 빚음에 따라 이 문제가 쉽게 해결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