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고성신문 | |
고성군 도로명이 도로구간 615개구간별 도로명 부여심의 결과 대로 3개구간, 로 44개구간, 길 568개구간으로 확정됐다. 도로명부여 고성군새주소위원회 지난 25일 군청 소회의실에서 새주소위원회 심의를 개최했다.
이날 고성군 새주소위원회 위원과 새주소 D/B구축 업체가 참석한 가운데 도로구간 615개구간별 도로명 부여심의와 대로, 로에 대한 2008년 9월 12일~25일 도로명 주민공모 결과 252건의 주민응모건과 47개 고성군(안)에 대한 도로명을 심의했다.
이날 심의 결과 ‘길’급 도로의 도로명 부여를 568개구간을 기초번호 방식으로 도로명 부여를 확정하고 대로 3개구간 및 로 44개구간 도로명을 확정했다.
대로는 거제~포항을 연결하는 14번국도가 고성군 고성읍 월평리~회화면 삼덕리를 지나가는 것을 ‘고성대로’로 고성군의 중심축을 관통하는 도로로써 원안대로 통과 됐다.
또한 고성~구미를 연결하는 33번국도가 고성읍 신월리~상리면 고봉리를 지나가는 도로로 임시도로명이 33번국도에서 ‘상리대로’로 확정되면서 고성읍과 상리면을 지나는 도로이며 종점의 지명을 사용해 고성군 원안대로 통과 됐다.
또한 77번국도가 하이면 덕호리~삼산면 두포리를 지나는 도로이며, 1010번지방도 일부구간 두포리~신월리를 포함하여 하이면 덕호리~고성읍 신월리까지 도로구간을 설정한 것을 고성군 원안대로 통과해 ‘남해안로’로 확정됐다.
77번국도는 거류면 신용리~동해면 내산리를 지나감에 따라 도로명 공모안에서 제5안 ‘조선특구로’로 확정돼 고성발전에 큰 획을 그은 조선산업특구지정 구역이므로 ‘조선특구로’로 추천된 것이 통과됐다.
또한 거류면 신용리~진주시 초전동을 연결하는 1009번 지방도는 고성읍 기월리~영오면 오서리를 지나감에 따라 도로명 공모 안을 채택했으나 대부분 대가면이 소속돼 있어 ‘대가로’로 수정가결 됐다.
고성읍 도시계획도로 중 수남리(남포)~기월리(신기)를 연결하는 도로구간을 제4안이 채택돼 ‘남포로’로 확정됐다. 고성읍 도시계획도로 중 신월리(프린스호텔 앞)~송학리(시외버스터미널)를 연결하는 도로구간을 ‘동외로’로 수정 가결됐다.
고성읍 도시계획도로 중 교사리(교동 삼거리)~군청 앞을 지나 동외리(한국전력공사)를 연결하는 도로구간을 ‘성내로’로 수정가결됐다. 또한 고성읍 도시계획 도로 중 교사리(33번 국도)~송학리(시외버스터미널)를 연결하는 도로 구간을 제3안이 채택돼 ‘송학 고분로’로 확정됐다. 배둔리 도시계획도로 중 갯마을횟집~배둔 주유소를 연결하는 도로구간은 ‘관인로’로 수정가결 됐다.
영현면 추계리~개천면 가천리를 연결하는 17번군도와 1009번지방도 외갈천마을~1007번지방도 옥천사 입구 도로구간을 ‘연화 1로’로 수정 가결됐다.
이유는 갈천리~옥천사를 지나는 군도이며 연화산 도립공원을 가로지르는 도로로써 ‘연화 1로’ 로 수정 가결됐다. 영현면 연화리~개천면 봉치리를 연결하는 8번 군도와 일부 개설된 연화리 신촌마을~옥천사 후문까지의 도로 구간을 ‘연화2로’로 수정 가결됐다. 고성읍 신월리~거류면 은월리를 연결하는 18번 군도와 월평리 매수마을~율대리 율대농공단지 안정공단 진입로를 연결하는 도로구간을 제2안이 채택돼 ‘월평로’로 수정 가결됐다.
동해면 장좌리~동해면 장기리를 연결하는 14번 군도를 반영(일부미개설구간도 반영됨)해 ‘구절로’로 수정 가결됐다. 기초번호 방식이란 도로의 방향 및 위치의 예측이 가능하도록 분기되는 도로 중 폭이 더 넓고 길이가 더 긴(상위도로) 도로의 도로명에 도로구간의 기초번호를 이용 분기되는 순서에 따라 번호 또는 방위를 명칭으로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고성대로 기점에서 기초번호 125번째 분기되는 도로는 ‘고성대로 125길’로 2009년부터 표시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