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현갑의 세상사는 이야기
골프장이 마치 황금알을 낳는 거위인양 곳곳에 골프장이 조성되고 있다. 회화면 봉동리를 비롯한 고성읍 월평리 하일면 오방리 등지에 크고 작은 골프장을 짓기 위해 준비가 한창이다. 대가면 장박재 고성공룡골프장은 사업이 중단된 채 표류하고 있다.
최근에는 회화면 봉동리에 당항골프장이 본격 공사에 들어가면서 주민들과 마찰을 빚기 시작했다. 당항골프장은 회화면 사회단체 등지에서 적극적으로 유치에 나서 별탈없이 골프장 인허가를 받아 빠르게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고성군에서도 골프팀까지 만들어 행정공무원이 상주하다시피 하여 당항골프장의 인허가를 받는데 행정력을 지원했다. 어찌보면 행정의 특혜업무까지 줬다는 비난마저 받으면서 당항포개발측에 골프장 인허가 업무를 대행해 줬다.
고성군은 이제 더 이상 당항포개발측에 주민요구나 지역경기부양책을 위한 협조마저 요구하지 못한채 ‘보따리 채’로 넘겨줄 꼴이 되고 말았다. 당항개발측은 골프장을 조성하면서 골프장 진입로를 우선 개설하지 않은 채 공사를 강행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발파로 인한 소음피해, 야간작업까지 하면서 주민피해를 주고 있는 실정이다.
더구나 당초 골프장을 조성하면 지역업체를 많이 참여시켜 지역경기를 활성화시키겠다는 약속도 지키지 않고 있다. 이로 인해 건설 조경 전기 등 지역업체들의 불만이 터져 나오고 있다.
당항개발측은 고성지역에서는 골프장을 건설한 경험있는 업체가 없기 때문에 컨소시엄을 구성할 수 없었다며 자신있는 업체가 있으면 공사를 해보라며 배짱을 부리고 있다는 비난을 사고 있다.
골프장 인허가는 받았고 아무런 법적 문제가 없기 때문에 이제 당항개발측의 뜻대로 골프장을 만들겠다는 ‘밀어붙이기식, 황제식 기업논리’는 앞으로 더 큰 주민들의 저항에 부딪칠 수 있다는 것을 새겨 두어야 한다는 여론이다.
당항골프장 월평골프장 조성으로 인한 당항만과 골프장 주변의 생태오염 피해 등은 무시된 채 기업의 이윤에만 급급, 골프장을 만드는데 고성군도 맞장구를 치고 있는 것을 보고 군민 모두 씁쓸한 마음을 금치 못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