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성재단 비리의혹은 노 이사장과 그의 손아래 동서이자 설립자의 둘째 며느리인 이모씨의 갈등이 불씨가 된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기자수첩)
김재익 초대 이사장의 맏며느리인 노 이사장은 지난 78년 8월부터 이사장직을 맡아오면서 파행적으로 재단을 운영했으며, 이 때문에 친인척들과의 ‘집안 갈등’이 빚어졌다.
결국 이를 지켜보다 못한 이씨는 노 이사장의 비리의혹을 도교육청 등 관련기관에 수차례 제기했고, 지난 2001년 철설중 매각건과 관련해 고성경찰서가 본격 수사에 나서게 됐다.
그러나 경찰은 구체적인 혐의점을 찾지 못했다. 재단 감사를 실시한 경남도교육청도 상황은 마찬가지였다.
그렇게 4년이 흐른 지난 8월 19일 고성경찰서가 최종 수사결과를 내놓으면서 재성재단 비리의혹이 표면화됐다. 하지만 공소시효를 넘겨 형사상 처벌은 어렵게 됐다.
수사 결과에 따르면 노 이사장은 96년 재단소유의 철성중학교를 경북 울진의 남영학원에 증여하는 과정에서 이사회의 의결을 거친 것처럼 회의록을 위조했다.
또 이 학교를 넘긴 뒤 남영학원으로부터 2천500만원을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 9월 29일 국정감사에서 재성재단 비리문제를 제기한 최순영 의원(민주노동당)은 도교육청 차원의 특별 감사를 촉구했다.
이에 따라 도교육청은 지난달 4일부터 6일까지 3일간 재성재단에 대한 특별감사를 실시한 결과, 노 이사장의 비리는 사실로 드러났다.
도교육청은 이번 감사에서 이사 7명 중 2명이 이사회에 참석하지 않았는데도 불구하고 참석한 것으로 이사회 회의록에 허위 날인한 사실도 추가로 밝혀냈다.
도교육청은 11일 최종 감사결과를 바탕으로 노 이사장의 이사장 취임승인을 취소했다.
이로써 지역 교육계에 소문으로만 떠돌던 재성재단의 비리의혹은 일단락 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