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고성신문 | |
조선산업특구 조성 인구유입 최대 관건 일반산업단지 걸림돌 많아 지역주민 기업 유치 무작정 반대론의 계속 오히려 지역 발전 장애 도로교통,교육, 문화 인프라구축 안간힘 쏟아 하수도정비계획 수립
고성군은 조선산업특구 지정과 마암일반산업단지 조성 등 조선경기 활황과 산업화의 물결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 추진 중인 산업지역 계획은 무엇인가?
▲동해면 조선산업특구=동해면 일원 3개 지구(내산리, 양촌·용정리, 장좌리) 육지 및 매립, 점사용 등 총 264만4천631㎡ 규모의 특구에 지난 2007년부터 오는 2012년까지 6년간 민자 6천38억원을 투입한다. 이 중 규모가 가장 큰 업체는 삼호컨소시엄으로 4천300억원을 들여 양촌·용정지구 192만㎡ 부지에 LNG 등 중대형 특수선박을 건조하는 조선소를 건립한다. 삼강특수공업(주)이 내산지구 21만6천㎡에 사업비 1천억 원을 들여 조선블럭 등 조선기자재를 생산하고, (주)혁신기업은 장좌지구 50만여㎡에 사업비 738억원을 들여 2만~4만t급 중소형 선박을 건조하는 조선소를 건립한다.
군은 조선산업특구가 완공되는 2012년 이후엔 인구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하고, 이에 따른 기반시설을 확충할 계획이다.
▲일반산업단지 조성계획은?=상리, 봉암, 대독 일반산업단지 마암지구가 일반산업단지로 추진하려는 계획이 나오고 있다.
조선산업특구 조성이 가속화되면서 이에 따른 주변 기자재 납품업체들이 속속들이 건립되고 있는 가운데 봉암, 대독 일반산업단지가 조성될 계획이다.
봉암일반산업단지는 민간사업자인 세기정공(주)가 동해면 봉암리 산 98-1번지 일원 29만8천480㎡부지에 1천82억3천500만원을 투입해 오는 2010년까지 조성될 계획이다.
봉암산업단지 부지는 4개 단지로 조성되며, 산업시설용지는 21만7천857㎡, 지원시설용지는 1만172㎡, 공공시설용지는 4만4천428㎡, 녹지시설용지는 2만6천100㎡이다.
여기에 세기정공(주)를 비롯해 두도중공업(주), (주)코펙, (주)통영산업 4개업체가 입주할 예정이며 업종은 운송장비제조업이다.
대독 일반산업단지는 고성읍 대독리 산78-6번지 일원 21만4천387㎡ 부지에 (주)연호가 400억 원을 투입해 오는 2010년에 완공할 계획이다.
민간사업자인 (주)연호는 산업시설용지 15만1천476㎡, 공공시설용지 21만961㎡, 녹지시설용지 4만950㎡로 조성할 계획이다.
▲마암지구 일반산업단지=군은 지난 3일 서울 코엑스에서 경남도와 성동조선해양(주)간에 마암일반산업단지 개발를 위한 투자협약서를 체결했다.
이에 따라 성동조선해양(주)은 오는 2012년까지 마암면 도전, 보전, 삼락리 일원 544만 7천㎡에 4천300억 원을 투입해 기술교육시설, 미래산업시설 연구소 등 첨단복합 산업단지로 조성된다.
특히 성동조선해양(주)은 2012년까지 2단계로 나누어 1차에는 2011년까지 부지조성비 3천억 원을 투입해 중전기, 중장비, 엔진, 플랜트공장 등을 유치한다.
또 2차 2012년 12월말 까지 부지조성비 1천300억 원을 들여 종합물류시설, 기술대학시설 등을 계획하고 있다.
● 산업화 움직임에 기반시설은 어떻게 추진되고 있을까?
군은 조선산업특구가 본격적으로 가동되는 오는 2012년 이후엔 11만9천여 명의 인구가 증가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군은 연도별 주택공급, 교육 선진도시화 추진, 보육시설 확대, 도시개발 등 특별대책을 수립해 추진하고 있다.
올해에는 다가구주택 216세대, 연립주택 19세대, 오피스텔 37세대, APT 336세대 등 1천세대를 공급한다.
또 2009년에 완공되는 서외 덕진휴먼빌는 293세대, 동외주공임대아파트 409세대, 동해용정 1차 300세대, 동해장좌 1차 200세대, 동외DS건설 400세대 등 2천500세대를 공급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2010년에는 당동희천개발 910세대, 동해용정 2차 300세대, 동해내산 500세대 등 2천500세대를 비롯해 2011년 4천500세대, 2012년 4천500세대 총 1만5천세대를 계획하고 있다.
▲고성군의 산업화에 따른 도로시설은?=조선산업특구로 지정받은 지역 대부분이 주변도로가 협소한데다 위험굴곡도로가 많아 교통사고 위험이 대두되고 있어 도로망 확충 정비가 시급한 실정이다.
군의 도로망은 고성읍을 중심으로 국도 14호선(마산~통영)과 국도33호선(고성~사천)이 지역간 교통을 연결하면서 간선도로망 골격을 형성하고 있지만 국도 77호선과 지방도 1010호선이 지역내의 각 생활권을 연결하고 있다. 그러나 체계적인 교통망 형성이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기존 국도14호선은 고속국도 35호선(대전~통영)과 연결됨에 따라 물류비용감소와 접근성은 용이해 졌지만 조선산업특구로 지정된 동해면 용정리, 장좌리로 연결되는 국도 77호선, 지방도1010호선, 군도 12호선은 2차선으로 폭이 좁고 굴곡이 심해 조선기자재를 운반하는 트레일러가 다니기에는 부적합하다.
군은 이 같은 여건을 개선하기 위해 국도 77호선(안정~당동)기존도로와 우회도로 확·포장사업을 오는 2010년까지 정비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군도 및 농어촌도로 6개 노선11.1km 정비 등 주변 교통여건의 변화에 따른 도로 확장 포장사업도 연차적 계획을 수립해 추진하고 있다. 송학-교사간 도시계획 도로개설 사업은 총 연장 1.1km 구간이며 지난 2월 착공해 오는 2009년 8월 준공될 예정이다.
또한 학림-동산간 도로개설 사업은 총연장 6.6㎞ 중 3.28㎞구간이 완료된 상태다.
이 사업이 완료되면 조선산업특구 조성 등에 따른 교통량 및 물류량 증가에 원활히 대처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공업용수 공급 계획 세우고 있나?=군은 지난해를 기준해 하루 평균 1만8천50㎥ 공급되는 용수수요가 2010년에는 3만800㎥, 2015년에는 3만6천500㎥로 대폭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 중 공업용수는 현재 하루 평균 50㎥에서 조선산업특구와 마암지구 일반산업단지 조성 진행단계인 2010년에는 하루 3천300㎥, 2015년에는 3천400㎥ 용수가 필요해 질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군은 지난 2006년 60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총 연장 45㎞구간 광역상수관로 시설을 완료했다. 그러나 조선산업특구 단지조성으로 하루 평균 7천㎥/일 상수도 수요량이 증가돼 관로확장과 배수지 증설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마암일반산업단지는 회화, 구만, 마암면에 급수를 하고 있지만 여름철에는 수요량이 급증해 감당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군은 이 지역의 수요량 부족해소와 마암일반산업단지 조성에 필요한 예상수요량이 5천㎥/일 이상 예상하고 기존 상수관로 확장을 계획하고 있다.
● 2012년 인구 10만복합형 고성시 조성 상·하수도 정비 계획
군은 하수도 개선을 오는 2009년까지 녹명마을, 제전마을, 장계마을, 대천마을 등 노후화로 효율적 운영이 어려운 공공하수도 정비를 마무리할 계획이다.
특히 공공하수도 신규설치는 오는 2015년까지 2단계로 나누어 2010년까지는 고성읍 매수, 곡용, 대안 3개소, 삼산면 삼봉 1개소, 하일면 맥전포 1개소, 하이면 신덕, 군호 2개소, 영오면 영대 1개소, 개천면 명성 1개소 등 9개를 신규 설치를 추진할 계획이다.
2단계인 2015년에는 고성읍 무량, 양덕 2개소, 하일면 동화 1개소, 하이면 봉현 1개소, 마암면 장산 1개소, 동해면 외곡, 용정, 검포, 내곡 4개소 등 9개소에 신규 설치를 구상하고 있다.
현재 하수도 정비 기본계획에 따라 시공 중인 곳은 삼산면 포교와 하일면 임포, 거류면 신은, 동해면 장기 등 4곳이며, 설계 중인 하수도시설은 구만면 낙동, 대가면 삼계 2곳이다.
● 조선특구와 산업화로 인한 주민들과의 마찰 잦아
고성군에는 조선산업특구 지정과 조선경기의 활황으로 조선기자재 공장이 급격히 늘고 있다.
이들 업체들의 신설과 함께 불법 행위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그 피해는 고스란히 지역주민들에게 돌아가고 있다.
군도 공장유치를 위해 각종 혜택을 주는 등 발벗고 나서고 있지만, 이들 업체가 신설 인가를 받고 나서 불법 행위를 저지르거나 공장 가동 중에 불법행위를 일삼고 있어 단속부서에서도 골머리를 앓고 있다.
이들 업체들의 불법행위 사례들을 보면 공장 신설 승인 신청서만 제출해두고 한 달 처리기간을 기다리지 못해 공장 승인도 없이 조선기자재를 제작하고 있는가 하면, 모 업체는 기업체와는 관계없는 고물을 불법으로 공장에 야적하는 바람에 주변 토양을 오염시켜 주민들의 항의를 받기도 했다.
특히 기존 건물을 불법 증·개축해 문제가 되고 있으며 업체는 공장 터 측면 원형보존위반(산림훼손)으로 적발되는 등 불법 행위가 증가하고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일부업체의 불법행위로 모든 업체들이 지역주민들로부터 매도되고 있는 실정이다. 군은 이처럼 기업들의 불법행위에 대해 단호한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앞서 기업은 주민의 입장에서, 주민은 기업의 입장에서 서로 이해하고 양보한다면 결과적으로 고성은 기업하기 좋은 도시로 부상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