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관둘 고성군의원의 한나라당 고성군 운영위원자격 제명을 놓고 지역정가가 술렁이고 있다.
김 의원의 제명은 지난 4일 고성군의회 후반기 원구성시 한나 라당에서 추대한 후보를 지지하지 않고 무소속 의원을 지지한데서 비롯된 것이다.
이에 한나라당 고성군연락소는 지난 18일 운영위원회를 열어 김관둘 의원의 운영위원 제명과 자진탈당을 요구하는 안건을 일괄 처리했다.
문제는 지금부터다. 군민들은 한나라당의 이 같은 방침이 전해지자 대다수가 ‘한나라당의 횡포(?)’가 지나쳐도 너무 지나치다는 입장이다.
당원으로서 당의 방침이나 당론을 지지 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문제는 김 의원이 군민을 대표하는 군의원 신분이라는 것.
군의원은 당리당략을 쫓거나 자신의 자리보전을 위해 있는 것이 아니다. 먼저 군민을 위해서는 소신껏 일할 수 있어야 한다. 자신의 소속 정당 후보보다는 누가 더 군민을 위해 일할 수 있는 의장이냐에 무게를 두고 투표할 수 있는 확고한 신념이 있어야 하는 것이다.
그런데 당에서는 정당 후보를 투표하지 않았다고 해서 제명하거나 자진 탈당을 요구하는 것은 그야말로 조직의 쓴 맛(?)을 보여주겠다는 의도로 밖에 해석되지 않는다.
만일 김관둘 의원이 탈당을 하게 되면 군의원 자격또한 박탈당할 것이다. 김 의원이 한나라당 비례대표로 입성했기 때문에 당적이 다른 의원에게 의석을 내 주지는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 같은 일이 벌어지자 군의원의 정당공천제가 폐지돼야 한다는 여론이 확산되고 있다.
군민의 손으로 뽑은 군의원이 당론을 위배했다고 해서 중도하차 한다는 것은 유권자에 대한 모독이다. 그야말로 고성의 망신이다.
이 점 한나라당은 신중히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문제는 또 있다.
현재 고성은 군수도, 도의원도, 군의원의 절반도 모두 한나라당 일색이다. 가정하에 이들도 당론을 위배했을때 모두 자진탈당을 요구할 것인가. 고성군은 한나라당의 전유물이 아니다. 고성의 주인은 고성군민인 것이다.
이번 사태로 인해 군수를 비롯해서 한나라당 공천으로 선출된 이들이 더욱더 당의 눈치를 보게 되지 않을까 심히 염려된다. 한나라당은 이들이 당의 시녀로서가 아니라 군민의 진정한 심부름꾼으로 소신껏 일 할 수 있도록 뒷받침 해야 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