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g)
김화홍 ( 본지 논설위원)
그렇다면 향토 학교를 기피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그 대책과 실제를 들어 본다.
첫째 요인이 향토 학교를 불신한다고 했다. 불신을 해소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먼저 지역 고등학교 학교장의 투철한 경영 철학이 있어야 하고 그에 따라 세밀한 입시 전략은 물론 모든 선생님들이 연구하고 학생 교육에 철저하게 임해야만 한다.
다시 말해 학교장과 교육에 임하는 교사들의 생각과 의식, 교수법에 따른 학생 지도가 면밀하게 분석되고 그 분석의 토대 위에서 학생을 지도하는 것이다.
다음은 교육에 임하는 학생들의 몫인즉, 우선 선생님의 교수법에 따라야 하고 시간을 쪼개서라도 주어진 청소년의 특권인 인격 연마는 물론 주어진 교과에 열과 성을 다하면서 단계적 연구에 충실히 임하는 태도를 갖추어야만 한다.
다시 말해 학생이 자기 충실의 연마를 통해 스스로 변화해야만 소기의 목적을 거양할 수 있다. 그 다음은 학부모와 사회인의 몫이다. 현대 사회는 복잡하면서 다변화와 다가치를 융합하고 있다. 따라서 청소년들이 악에 물들기 쉬운 장소와 환경이 노출된다.
학부모는 자식들에게 성장의 관찰자가 되어야 하며, 각 교과 영역에서 성적의 성취도를 보고 학생과 논의하고 학교 당국의 교과 담당 선생님을 찾아 그 요인을 분석하여 상호의 대책을 세워 적당한 처방책을 찾아 실행에 임해야 한다.
다시 말해 학부모는 학생의 감시자 내지는 조언자로서의 역할을 다해야 하는 것이다.
일반 사회인은 유흥장이나 악에 물들지 않게 모든 학생을 내 자식같이 보살피는 따스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