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고성신문 | |
고성군내 택시의 장기 불황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현재 운행 중인 택시를 최대 59대까지 줄여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또 현재 운행 중인 택시가 많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감축해야 한다는 설문조사 결과도 나왔다.
고성군이 택시의 안정적인 수급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재)한국경제조사연구원에 의뢰한 ‘고성군 중기 5개년 택시 총량제 산정 연구’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택시 총량제는 택시 공급과잉을 막기 위해 지역별로 택시총량을 정한 뒤 택시 대수가 총량을 넘지 않도록 제한하는 제도로, 고성군은 올해부터 5년간 시행한다.
이번 조사결과에 따르면 군내에서 현재 운행 중인 택시의 가동율은 76.2%, 실차율(승객을 태운 차의 비율)은 35.7%에 그쳤다.
영업용 택시의 절반 이상이 승객을 태우지 못하고 ‘빈차’로 운행되고 있는 것이다.
이는 건설교통부에서 제시한 목표 실차율 범위인 48~52%와 안정적 가동율 범위인 80%(±5%)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이다.
따라서 앞으로 택시 실차율과 가동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현재 운행 중인 택시의 감축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목표 실차율을 48%, 가동율을 78~82%로 적용할 경우 52대에서 최대 59대의 택시를 감축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택시 업계도 고유지책으로 무분별하게 늘어난 택시를 줄여야 한다는 입장이다.
법인 및 개인택시 운전자 70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법인택시 운전자의 79.4%와 개인택시 운전자의 94.3%가 ‘택시 감축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하지만 택시 감차방안으로 제시된 택시부제에 대해서는 법인택시와 개인택시간에 엇갈린 반응을 보였다.
설문조사에 응한 법인택시 운전자의 32.3%가 ‘5부제가
/공병권기자 기자 /  입력 : 2005년 10월 19일
- Copyrights ⓒ고성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