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처음으로 공공비축제가 시행된 가운데 농민들이 우려하던 벼 매입 대란이 현실로 나타났다.
농협과 민간RPC들이 뚜렷한 산물벼 매입가격을 내놓지 않자 농민들이 벼 출하를 꺼리고 있다.
이 때문에 지난 5일부터 본격 시작된 산물벼 매입이 전면 중단되는 등 차질을 빚고 있다.
이 가운데 포대벼는 농림부가 정한 목표가격의 80%를 수매 때 지급하고 나머지는 12월까지 전국 평균가격과 비교해 차이가 나는 만큼 추가 지급하거나 차감하게 된다.
산물벼는 농협·개인RPC가 산지가격 시세에 따라 매입토록 해 지역별로 가격 편차가 심한데다 일정하지 않은 가격 때문에 농가가 불이익을 볼 우려가 높은 실정이다.
농민들이 복잡한 가격 산정 절차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고, 매년 수매 때 산지가격의 경우 시중가보다 훨씬 낮게 책정되는 것도 문제다.
또 산물벼 출하를 못하면 전체 수매량에서 그만큼 삭감될 뿐 기존 추곡수매가와 달리 포대벼 대체 출하를 못하도록 해 농가의 불만이 고조되고 있다.
따라서 산물벼도 정부의 가격기준에 맞춰 매입해 줄 것을 요구하는 농민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와 관련, 지난 12일과 13일 농업기술센터에서 농민단체와 농협·개인RPC 관계자 등이 모여 사태 해결을 위한 긴급 간담회를 가졌으나 합의점을 찾지 못해 난항을 거듭하고 있다.
이 자리에서 김재호 고성농협 조합장은 “산물벼 매입가격은 농가 소득과 직결되는 것이기 때문에 전국 시중가격을 고려해 신중히 결정해야 한다”며 난색을 표했다.
이에 대해 강기태 농업경영인고성군연합회장은 “현재 정부가 제시한 포대벼 매입가격을 기준으로 산물벼도 매입하는 것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