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고성신문 | |
김태호 지사가 경남에서만이라도 대운하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고성운하 건설를 경남도와 공동을 추진해야 한다는 여론이다.
고성읍 신월리 남포~마암면 간사지~마동호~당항만을 잇는 고성운하를 개설해야 한다는 여론이다.
이는 고성군이 최근 추진 중인 당항포 요트계류장산업과 연계한 지역관광개발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고성운하 개설이 타당하다는 전문가들과 지역주민들은 고성읍 신월리~당항만까지 불과 2㎞밖에 안 되고 운하폭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고성군은 지난해 이학렬 군수를 비롯한 군의원 등이 유럽 요트계류시설 선진지 견학을 다녀온 후 고성읍 신월리~회화면 당항만간 운하를 건설해 당항만과 고성만 수질을 개선하고 요트와 유람선을 운항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에 마동호를 굳이 막을 필요가 없다는 여론 또한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일부 주민들은 마동호를 막지 말고 운하를 개설하여 이곳에 요트와 유람선을 운항하여 해양레저산업을 육성시켜 나가자는 의견이다.
이럴 경우 당항포와 고성읍~하이면 상족암을 잇는 해양레저관광과 남산공원, 옥천사, 옥수온천개발, 당항포 골프장, 거류산 엄홍길 등산로 활용 등으로 관광 인프라가 구축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군민들은 고성운하를 개설하면 수많은 관광객을 유치, 고성읍은 물론 하이, 거류, 회화, 동해권까지 균형개발이 가능해져 막대한 관광수익을 올릴 수 있다는 주장이다.
한편 경남도와 낙동강을 끼고 있는 도내 8개 지자체 실무자들이 연석회의를 가져 ‘경남 대운하’를 본격적으로 추진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특히 경남도는 오는 추경에 경남 운하 타당성 검토 용역비 3억원을 반영하는 등 사실상 대운하 행보를 시작한 반면 사회단체를 중심으로 대운하 반대 분위기가 고조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도 확실한 입장을 정리하지 못한 상황에서 경남 단독의 대운하에 대한 우려도 만만찮다.
경남도와 창원시, 의령군 등 도내 낙동강 연안 8개 지자체에 따르면 8일 도청 회의실에서 실무자들이 모여 상견례를 겸한 각 지자체의 의견교환을 처음으로 나누는 운하 관련 지자체 연석회의를 가졌다.
이 자리에서 경남도는 홍수예방 등을 위한 낙동강 치수계획을 위해서라도 대운하가 필요하다는 취지와 함께 남해안권 개발과 연계해 당위성 등을 설명, 운하에 대한 강한 의지를 간접적으로 밝혔다.
이에 반해 8개 지자체들은 운하와 관련, 현재까지 정부의 뚜렷한 추진 의사나 계획 등이 없어 운하에 대해 상당한 혼선을 빚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지자체 관계자는 운하는 지자체의 직접적인 이해가 물려 있는 만큼 경남도가 이해관계를 조정하는 등 적극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는 주문을 하기도 했다.
한편 운하백지화 국민행동경남본부 등 도내 시민사회단체는 한반도 대운하 사업은 3500만 낙동강 유역민의 먹는 물을 오염시키고, 국민들에게 홍수와 세금 폭탄으로 되돌아올 것이라고 경고하는 등 반발 움직임을 구체화하고 있어 도의 나홀로 추진에 상당한 난관이 예상되고 있다.
고성운하개설을 경남도의 낙동강 운하와 연계한 국책사업으로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이 높아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