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고성신문 | |
고성소도읍 육성사업을 위한 용역설계가 한창 진행되고 있다. 인구 10만 고성시 건설이라는 큰 과제를 안 새로운 고성시로 탈바꿈하려는 군민들의 열망도 담고 있다. 송학~교사간 도시계획도로가 개설되고 남산공원과 남포항을 잇는 등산, 관광 휴식공간의 빛의 거리 조성 등 남산권개발사업 등이 함께 추진될 전망이다. 고성읍 외곽을 연결해 읍민들의 운동·레저활동을 할 수 있는 바이오스포츠로드도 하나 하나씩 조성되고 있다. 앞으로 추진될 고성소도읍육성사업이 어떻게 예산이 투입돼 조성되는지에 대해 살펴본다.
<편집자주>
고성읍을 복합형 신도시로 개발하기 위한 소도읍육성사업 기본계획 실시설계안이 마련됐다.
고성소도읍육성사업은 2009년까지 총 200억원을 들여 개발한다는 계획으로 추진되고 있다. 이 소도읍 육성사업은 △남포항 바다체험형 포구사업(소도읍사업비 50억원) △고성시장 쇼핑타운 리모델링(소도읍사업비 59억원) △고성바이오스포츠로드 조성사업(소도읍사업비 74억원) △가야촌조성사업(소도읍사업비 17억원) 등 4개 분야 사업으로 시행될 예정이다.
남포항 바다체험형 포구 정비사업에는 해양체험광장(수남유수지 생태공원), 남포항배후정비(빛의 거리조성) 진입도로개설(수남사거리~등기소간 도로개설) 등 3개 사업이다. 고성시장 쇼핑타운 리모델링 사업은 송학~교사간 도로개설과 고성시장 아케이드, 광장 등 시장현대화정비가 실시된다.
고성바이오스포츠로드 조성사업은 고성천과 간사지자연생태 공원, 스포츠파크 정비사업이 시행된다.
가야촌문화촌조성사업은 소가야유물전시관을 건립하게 된다.
고성읍 수남유수지 생태공원에는 탐방데크로드, 탐조대 등의 생태체험 공간이 만들어 진다. 지압보도와 생활체육시설과 잔디광장을 비롯한 피크닉장 휴양시설을 만드는 개발계획이 실시설계에 검토되고 있다. 수남유수지 생태공원 사업은 총 132.391.8㎡ 면적에 야외 공연장, 생태학습장, 수변생태공원, 탐조대 등 교양시설(사업비 3억3천495만원)이 7,376,0㎡(5.6%)조성된다. 지압보도, 체육시설(7천111만원)이 3,647,0㎡(2.8%), 경관녹지, 완충녹지, 분수, 조각공원, 숲길공원 등 조경시설(9억5천453만원)이 94,130,8㎡(71.1%) 가장 많은 면적을 차지하게 된다.
피크닉장, 잔디광장 등 휴게시설(1억7천962만원)이 17,962,0㎡(13,6%), 주차장, 관리동, 휴식공간 등 편익시설(3억6천592만원)이 2,394,0㎡(1.8%), 광장 산책로 등 기반시설(9억4천66만원)이 6,266,0㎡(4.7%)이 조성된다. 수남유수지 생태공원 조성의 토지보상비는 8억원 가량으로 추산하고 있다.
이 수남유수지 생태공원은 남포항과 남산공원개발사업과 연계해 볼거리를 제공하고 철새도래지의 생태휴식공간으로 조성한다는 구상이다. 수남유수지 생태공원은 국도 33호선과 지방도 1010호에 인접해 있고 고성중앙고, 대독천, 갈대군락지 등 입지여건이 좋아 해안체험 생태공원으로 꾸미는 계획이 실시설계에 반영되고 있다.
수남일 일대 2.3km에 걸쳐 빛의 거리가 조성된다. 수남리 선착장~해수탕까지 1.5km와 남산정~철뚝 바닷가섬 0.8km까지 빛의 거리를 조성하는 계획이 설계 중이다.
소도읍 사업비 5억원을 들여 2008년 착공해 2009년 완공한다는 계획이다. 빛의 거리는 고성만의 자연지형과 남산공원을 최대한 살릴 수 있는 조명계획을 세워 만들어진다. 남산정~남산교는 기존 가로등을 정비하고 해수탕~별장횟집 앞 바닷가섬~수남리 선착장까지 해안도로변은 은은한 디자인 조명 펜스를 설치해 빛의 거리 이미지를 높인다.
남산정~바닷가섬은 야간에 군민들이 산책하는 공간을 충분히 살리고 남산공원 고유의 색깔을 연출하게 설계에 반영되고 있다.
해안로~남산공원은 조명을 화려하게 설치해 다양한 색변화를 연출해 야간휴식공간으로 각광받게 만든다는 계획이다. 또한 수남사거리~등기소간(중로 2-1호선) 진입도로를 개설하게 된다.
오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소도읍사업비 25억원(총사업비 39억원 추정)을 들여 길이 550m, 폭5m로 개설하게 된다.
군은 손실보상계획 공고 및 보상을 한 후 문화재영향검토 협의를 거쳐 실시계획인가를 받을 방침이다.
이곳 도로는 남산공원~고성교육청~고성청년회의소~농산물품질관리원~2호광장~고성군청~수남리를 연결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고성시장 리모델링사업으로 송학·교사간 도로가 개설된다.
소도읍사업비 50억원(총사업비 160억)을 들여 길이 1.1km가 개설된다. 군은 송학~교사간 도시계획도로 정비사업을 펴 현재까지60억원의 예산을 투입, 부지보상 141필지 중 124필지를 협의해 88% 보상률을 보이고 있는 상태이다.
이 도로는 고성시장을 활성화하는 데 중요한 기능을 하게 되고 고성읍의 복합형신도시개발예정지와 연결돼 향후 고성읍의 중심축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특히 송학 교사간 도로는 1호광장과 고성시장~공룡거리~국도14호선으로 연결되는 도로개설 기본 구상을 설정해 실시설계를 하고 있다. 또 송학~교사간 도로의 보도는 공룡의 이미지를 부각한 공룡발자국 문양을 설치하게 된다. 보도에다 공룡안내판, 세계공룡엑스포와 연계해 형상화하는 공룡거리를 조성한다는 구상이다.
고성시장 아케이드는 9억원의 소도읍 예산을 들여 현재 미설치된 다-1동, 라-1동, 라-3동, 나-1동, 가-3동 나-3동, 가-5동 등에 아케이드를 설치하기 위해 실시설계 중이다.
고성바이오스포츠로드는 길이 13.59km에 걸쳐 조성되고 있다. 현재 26.82km가 마무리됐으며 개보수구간 4.98km 실시설계에 4.98km가 포함돼 개설된다.
바이오스포츠로드는 고성읍종합운동장~대가저수지~율촌마을~간사지~가동마을~고성병원~하수종말처리장~대평교~운동장까지 있는 31.8km의 8시간 소요 코스와 운동장~대가저수지~죽동마을~잠수교~대평교~운동장을 잇는 2시간 30분 소요 등 전지훈련코스 개발이 검토되고 있다.
고성병원~하수종말처리장을 왕래하는 3.2km 1시간 코스와 가동마을~잠수교~죽동마을~잠수교~하수종말처리장을 잇는 6.3km의 1시간 30분 소요 코스도 설계에 반영되고 있다. 바이오스포츠로드는 신설탄성 포장 중 두께가 13mm 재질로 포장하고 기존 마사토포장에 투스콘 두께 200mm로 설계에 반영됐다.
바이오스포츠로드에는 11개소의 쉼터가 조성되고 목교와 징검다리가 만들어진다. 교량은 라메교 형식으로 폭 5m 길이 14.4m가 개설된다.
간사지 생태공원은 소도읍사업비 30억원이 투입된다. 간사지는 대규모 철새군락지로 자연생태경관이 뛰어나 그 효율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간사지생태공원에는 비지터센터와 조망공원, 갈대정원, 자전거도로(에코트래킹코스), 정화습지, 단층관찰데크, 공룡습지 등을 만드는 계획이 설계되고 있다.
고성바이오스포츠로드의 스포츠파크는 고성읍 교사리 고성종합운동장 일원이 개발된다. 이곳에는 축구장과 족구장, 골프연습장, 조깅코스가 새로 개발된다.
군은 기존 스포츠타운지를 확충 개발하여 명실상부한 체육문화타운으로 조성한다는 구상이다.
현재 고성종합운동장 뒷편 교동소류지 아래 농경지에 스포츠파크를 만들어 전국규모 대회 유치가 가능한 제2종 공인경기장 기준에 맞도록 개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전국 체육대회는 물론 고성군 생활체육 활성화를 도모하고 청소년을 위한 체육시설 설치, 군민문화공간으로 활용해 나간다는 것이다.
가야촌문화조성사업으로 송학리 475-1번지 2,000㎡ 일원에 지하 1층 지상 2층 크기의 소가야유물전시관이 들어선다.
소가야유물전시관은 복합형신도시개발 이후 문화공간으로 그 역할이 기대되며, 송학고분군과 연계해 고성의 역사를 알리는 학습장으로 각광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이번에 중간보고된 고성소도읍육성사업 기본계획 및 실시설계가 고성읍의 기본개발구상이 다소 미흡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수남리 유수지에 물이 저수하는 데 2억5천만원이 소요되는 것으로 분석돼 그에 따른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또한 탐방데크로 인해 철새도래지가 사라질 수 있다는 문제점도 안고 있다.
특히 고성소도읍육성사업이 제대로 개발 조성되기 위해서는 우선 주차공간 확보가 시급하다는 지적도 받고 있다. 따라서 고성소도읍육성사업이 군민의견을 더욱 수렴하고 기존 사업과 새로 조성하게 되는 소도읍사업이 상호 연계 개발효과를 가져오도록 실시설계부터 잘 반영돼야 한다는 여론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