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5일 근무제가 도입되면서 농·산·어촌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체험마을이 인기를 끌고 있다.
그러나 체험마을을 지정된 이후 행정에서는 지원이나 심을 전혀 쓰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고성에도 대가면 유흥리 삼계 녹색농촌체험마을을 비롯해 하이면 동화리 어촌체험마을, 개천면 나선리 나동체험 마을 등 3개의 체험마을이 운영되고 있다.
내년에는 대가 갈천리 종생마을이 정부의 지원을 받아 야생화 테마 체험장, 마을회관 개·보수, 방문객 편의시설 등을 개설할 예정이다.
고성의 체험마을에는 올해 들어 225명의 관광객이 왔을 뿐이다. 비숙박이 1만원, 숙박이 2만원인데, 숙박객이 25명이었으니 올해 체험마을의 전체 수익은 250만원. 정부 지원금 2억을 모두 투자했지만, 수익금은 지원금의 1%를 조금 넘긴 수준이다.
지역의 자연환경을 적극 이용해 높은 수익률을 보이는 체험마을인 평창의 ‘의아지 마을’은 넉 달 동안 1만 명의 관광객이 찾을 정도이며, 지난겨울 한 철 운영한 눈놀이장 만으로 3억 5천에 달하는 수익을 올렸다. 현재는 산악오토바이와 치즈 만들기, 감자 캐기 등 다양한 체험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고성은 이용객의 어린이들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에다 어느 농촌에서나 쉽게 즐길 수 있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어 차별화가 힘들다. 운영진은 마을이장이 체험마을 위원장과 사무국장 둘 뿐이며, 운영 전반에 관한 교육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상황이 그렇다 보니 인터넷 등으로 하는 예약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뿐만 아니라 숙박시설은 마을의 민가를 그대로 이용한 민박 위주다 보니 도시에서 온 이용객들은 민박 이용에 불편을 겪기도 했다. 특히 대전~고성간 고속도로 이용객의 경우 고성지역의 체험마을을 찾는 이정표가 마련돼 있지 않아 찾아오기 힘든 실정이다.
이들 체험마을 관련 홍보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고성 출신 향우조차도 체험마을이 있다는 것을 모르는 경우가 허다하다.
체험마을을 관리하고 있는 농업기술센터 관계자는 “사업비 2억 원 지원 이후의 프로그램 개발이나 운영 등은 절대적으로 각 마을에 맡기고 있다”며, 현재로썬 운영진의 교육 등의 계획은 전혀 없다고 말했다.
농가소득 증대와 관광객 유치,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해 시작된 체험마을 사업이다. 현재 2억 원의 사업비를 각 마을에 지원했다. 하지만 이 지원금을 웃돌 만큼의 충분한 수익이 발생하기까지는 시간 혹은 인력이 얼마나 더 들지 모를 일이라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주민 김모씨는 “고령화된 농·산·어촌의 실정으론 스스로 개발해 수익을 창출하기 힘들다. 지원금만 지급할 것이 아니라 농·산·어촌을 살리기 위한 아이디어를 함께 개발해야 한다”고 걱정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