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고성신문 |
|
345㎸ 의령 송전선로 건설사업이 추진 중인 가운데 하이면을 비롯한 송전선로가 지나가는 지역의 주민들 거센 반발이 예상된다. 고성그린파워(주)는 정부의 제7차 전력 수급 계획의 송·변전 설비계획으로 단일 계통 변전소 보강을 통한 전력 계통 취약성 해소와 경남지역에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345㎸ 의령 송전선로 건설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에 지난 20일 하이면사무소에서 의령 송전선로 건설사업 주민설명회를 열고 용역사 관계자가 하이면 주민들을 대상으로 사업개요와 송전선로 최적 경과 대역 선정 과정 등을 설명했다.
사업은 고성 하이 변전소에서 345㎸ 의령 변전소까지 송전선로를 건설하는 것으로 기존 단일계통으로 공급되는 선로가 고장 시 광역 정전이 예상됨에 따라 다른 선로를 보강해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추진된다. 사업 기간은 2032년 12월까지로 사업지역은 고성군을 포함한 사천시, 진주시, 의령군 일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9월부터 올해 2월까지 입지선정위원회를 구성하고 지난 7월까지 3차 회의를 통해 후보 경과 대역 논의와 최적 경과 대역을 선정했다. 최적 경과 대역에 포함된 고성 지역은 하이, 하일, 상리, 영현, 개천, 영오 6개 면이며, 향후 후보 경과지 선정과 경과지 주변 마을 사업설명회를 거쳐 최적 경과지를 결정할 예정이다. 최적 경과지에 편입되면 전기사업법,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 송·변전설비 주변 지역의 보상 및 지원에 관한 법률 등에 따라 보상과 지원이 이뤄지고 특별지원 사업으로 근접 마을에는 철탑 수, 철탑 부지 감정평가금액, 주변 지역 가구 수 등을 고려해 마을별로 차등 지원될 예정이다.
주민 A씨는 “송전선로가 지나가는 논은 헐값에도 팔리지도 않는다. 여기다 우리 마을에는 송전탑이 3개나 설치되어 있지만, 지원은 1개밖에 되지 않는다”라면서 “주민들은 어디에 하소연도 못 하고 당하고만 있다. 이런 상황인데도 또 송전탑과 송전선로를 세운다면 나머지 송전탑 전부 보상과 지원을 해달라”라고 분개했다. 주민 B씨는 “주민들은 고성하이화력발전소가 들어설 때 더 이상의 송전선로가 추가하지 않겠다고 해서 동의를 해줬다”라면서 “그런데 송전선로를 추가하는 것은 말도 안 된다. 앞서 설명한 보상이나 지원도 필요 없고 반드시 사업을 추진하려면 전선을 지중화하거나 지중화가 불가하다면 사업 자체를 철회하라”라고 반대했다.
주민 C씨는 “하이면의 인구는 계속해서 감소하고 있고 군이나 주민들은 하이면에 인구 유입을 위해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는 등 노력하고 있다”라면서 “그런 상황에서 송전선로가 지나가면 누가 하이면에 살러 오겠나”라고 반대했다. 정영환 의원은 “현재 단일계통으로 전기가 경남지역으로 공급되다 보니 비상시나 재난 상황에서 여러 도시가 정전되는 것을 우려해 안정적으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정부에서 사업을 추진하는 것에 대한 당위성은 이해된다”라면서 “하지만 이전에 기존 철탑과 송전선로를 이용해 전기를 공급한다고 해놓고 또 새로 송전선로를 건설한다고 하니 주민들은 반발할 수밖에 없다. 다음에 주민설명회를 다시 열고 고성그린파워에서도 주민들의 의견이 충분히 반영해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고성그린파워 관계자는 “송전선로를 추가하지 않겠다는 내용은 모르는 부분이다. 주민들의 의견은 수렴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이처럼 의령 송전선로 건설사업에 대해 하이면민들은 아무런 대책 없이 사업을 추진하면 실력행사도 불사하겠다고 밝히고 있어 사업에 난항이 예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