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고성신문 |
|
고성군이 농촌공간 재구조화 정책 방향을 주민과 공유하고 의견을 듣기 위해 14개 읍·면을 돌며 정책 포럼을 연다. 군은 8월 19일부터 27일까지 ‘고성군 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주민 설명회를 진행한다. 이번 포럼은 기본계획의 필요성과 추진 방향을 설명하고, 고성군 현황과 문제점을 주민과 함께 논의하는 자리다. 행정·전문가·주민이 소통하며 계획을 함께 만들어 가는 것이 목표다. 행사는 (사)영남지역발전연구원 도창희 대표의 ‘농촌공간 재구조화 정책 이해와 추진방향’ 발표, 주민 아이디어 도출을 위한 조별 워크숍, 설문조사 순으로 진행된다.
‘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 기본계획’은 난개발, 저출생·고령화로 인한 농촌소멸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10년 단위 종합 공간 전략이다. 농촌다움 회복과 지속 가능한 정주 여건 조성이 핵심 목표다. 이 계획은 2024년 3월 시행된 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른 법적 의무사항으로, 현재 전국 139개 시·군에서 수립 중이다. 정부는 기본 방향을 제시하고 지자체는 주민과 함께 상향식으로 계획을 세운다. 앞으로 정부는 농촌공간계획을 통해 주거, 산업, 축산, 융복합산업 등 기능별로 ‘농촌특화지구’를 지정하고, 시설 집적과 규제 완화, 사업 집중 지원을 통해 활용도를 높일 계획이다.
이상근 군수는 “이 계획은 단순한 토지 정비가 아니라 지방소멸 위기를 극복하고 미래 세대를 위한 농촌 공간을 재설계하는 과정”이라며 “농축산업은 물론 역사·문화·경관까지 아우르는 종합계획으로 누구나 살고 싶고, 돌아오고 싶고, 머물고 싶은 고성 농촌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