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촌공사 - 관행어업 보상 대상 아니다
당항만대책위 - 마동호공사 중지, 원상복구
반대집회 계속 갈등폭 깊어 공사중단 장기화
당항만대책위원회(위원장 김정도)는 지난 9일에 이어 12일 마암면 마동호 건설 현장에서 연안주민 5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대대적인 집회를 가졌다.
이날 거류, 동해, 마암면 등 연안주민들은 마동호 배수갑문이 설치되는 현장 인근에 컨테이너와 천막을 설치하여 현장에는 트랙터로 출입을 하지 못하도록 막아놓고 있다.
이들은 “임진왜란, 6.25사변 목숨 바쳐 지킨 바다 한국농촌공사고성지사. 어촌계 농간에 우리가 못 지키랴” 는 현수막을 설치하여 시위를 가졌다.
농촌공사는 2002년 12월 고성군내 농경지 가뭄해소를 위해 마암면과 동해면 사이 당항만을 가로지르는 길이 834m의 둑을 쌓아 2012년까지 총 저수량 741만톤 규모의 담수호를 만드는 사업에 착수했다.
지금까지 공사는 전체 공사비 986억원 가운데 348억원이 투입됐고 이 가운데 159억원이 당항만 5개 어촌계·어선·어장 보상금으로 지난해까지 지급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공정률은 40%로 공사 현장 진입도로 2.6km 개설과 배수갑문 임시물막이까지 진행된 상황이다.
그러나 당항만 대책위는 고성군 농경지가 매년 감소하는 상황에서 바다를 막아 담수호를 조성하는데 회의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김정도 당항만대책위원장은 “돈 되는 바다는 뺏길 수 없다며 마동호 공사 결사반대, 주민인장 도둑질한 농촌공사는 각성하라”는 구호를 외치며 주민의 권리를 팔아먹는 어촌계는 마을주민들에게 사죄하라고 촉구했다.
또한 당항만은 지난 태풍 매미 때도 아무런 피해가 없는 바다로, 이보다 좋은 바다는 없을 것이라며 공사를 중단하고 원상복구할 것을 강력히 요구했다.
한편 마동호 건설현장 소장은 “회사 방침이 담긴 내용증명을 당항만 반대대책위 집행부에 보냈고, 공사를 방해하고 있는 부분에 대해선 형사 고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국농촌공사 고성·거제지사 지역개발팀장은 “신고되지 않은 관행어업에 대한 보상은 법적 대상이 아니어서 우리도 어쩔 수가 없다“ 면서 ”반대하는 주민들과 대화를 통해 공사를 진척시켜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