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고성신문 |
|
경상남도의 산림정책이 기후위기와 탄소중립 시대에 맞춰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다. 고성 출신 허동원 도의원은 “산림정책은 이제 백년대계를 준비할 시점”이라며 산림정책의 전면적 개편을 촉구했다. 허동원 경남도의회 경제환경위원장은 지난 18일 고성군산림조합 대회의실에서 ‘산림정책의 전환과 새로운 패러다임 적용’을 주제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산림조합중앙회 경남지역본부와 공동 주최로 열렸으며, 산림조합 관계자, 임업 단체, 산주 등이 참석해 큰 호응을 얻었다. 허동원 위원장은 주제 발표에서 “산림정책은 단순한 관리가 아니라 산업으로 전환돼야 한다”며, “산림의 잠재력을 미래 자산으로 전환하는 선도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허 위원장은 특히 경상남도 산림국 신설, 산림재해 사후대응에서 예방 중심 전환, 청년 임업인 양성과 기술 교육 확대, 탄소중립 실현 위한 선도형 정책 확대, 민·관·산·학 거버넌스 구축 등을 주요 과제로 제시했다. 패널토론에서는 경남 산림정책 전환을 위한 실질적 제언이 이어졌다. 윤경식 경남도 산림관리과장은 “6차 지역산림계획 변경과 실현 가능한 로드맵 마련”을 강조했으며, 강명효 산림환경연구원장은 “목재 유통구조 개선과 장·단기 소득작물의 균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형호 경상국립대 교수는 “자금 투자를 최소화하면서 효율적인 산림관리 정책 마련과 임업기술교육센터 활성화”를, 강주호 산림조합중앙회 부울경지역본부장은 “경남권역 임산물 유통센터 구축”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현장 방청객들도 “공익성과 사유재산권의 균형이 필요하다”, “산림경영을 부정적으로 보는 시각의 전환이 필요하다”, “목재 유통의 비효율성 개선”, “산불과 병해충에 강한 수종 전환” 등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며 토론의 깊이를 더했다. 허동원 위원장은 “기후위기 시대에 산림은 생존과 직결된 미래 자산”이라며, “임업 예산을 농·어업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경남형 산림정책 전환 로드맵’을 구체화하겠다”고 밝혔다. /황선옥 시민기자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