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고성신문 |
|
6월, 이 한 달은 수많은 이름을 품고 있다. 현충일, 6·25, 참전, 유가족, 안보. 이 단어들은 누군가의 생애이자 어떤 이의 청춘이었고, 공동체 전체의 상이기도 하다. 스무 해를 채 넘기지 못한 채 흙이 된 청년, 총과 포연 속에서 돌아와 말없이 늙어간 이들이 있었다. 우리는 ‘국가’라는 말을 너무나 익숙하게 쓰지만, 그 안에 깃든 무게를 실감하며 살아가는 이는 드물다. 국가는 단순한 제도가 아니라 우리의 일상을 지탱하는 구조이자 질서의 바탕이다. 눈에 보이지 않지만, 인간 존재를 떠받치는 가장 깊은 뿌리이기도 하다.
문제는 국가에 대한 인식의 깊이다. 어느 순간부터 우리는 국가를 시대착오적인 장치로 치부하고, 안보를 냉소의 대상으로 바라보게 됐다. 공허한 이상론으로 밀려난 국가의 의미는 이제 공론장에서도 점차 자리를 잃어가고 있다. 하지만 국가는 감정의 대상이 아니다. 국가는 공동체를 가능하게 하는 구조적 기반이며, 법과 제도를 넘어선 역사와 기억의 축적물이다. 헌법과 영토 위에, 그 이름을 지키기 위해 쓰러진 이들의 시간과 피, 침묵과 인내가 차곡차곡 쌓여 만들어진 약속이다. 6월의 끝에서 우리는 다시 묻는다. 국가를 생각한다는 것은 무엇인가. 그것은 공동체의 본질을 되새기는 일이며, 다음 세대를 향한 사회의 방향으로 이어져야 하는 질문이다. 기억은 감상이 아니라 태도에 가깝다. 희생을 기린다는 것은 과거를 딛고 오늘의 책임으로 연결될 때 비로소 의미를 가진다.
국가에 대한 감사는 말이나 기념일에만 머물러서는 안 된다. 그 진정성은 일관된 태도와 공동체에 대한 책임의식 속에서 드러난다. 우리가 그 무게를 다음 세대에게 어떻게 건네느냐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다. 청소년에게는 정확한 역사 인식과 현재 사회 구조에 대한 이해를 돕고, 청년에게는 권리와 함께 공동체에 대한 책임을 나눌 수 있는 주체로 성장할 기회를 주어야 한다. 기성세대는 말의 높이보다 삶의 깊이로 답해야 한다. 겸허함과 통찰력으로 흐름을 지키고, 방향을 잃지 않게 하는 조용한 중심이 돼야 한다. 국가란 무엇인가. 이 질문을 계속 던지는 사회만이 다음 세대에게 이 땅을 온전히 물려줄 수 있다. 그리고 역사의 무게를 견디는 사회만이 미래를 열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