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가 본격적인 장마철을 앞두고 여름철 풍수해와 폭염에 대비한 재난 대응체계를 가동한다. 경남도는 지난 11일 도청 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실에서 ‘2025년 여름철 풍수해·폭염 대책 점검회의’를 열고, 도와 시군, 유관기관이 공동 대응 전략을 점검했다. 회의는 박완수 도지사가 주재했으며, 도 실․국․본부장과 18개 시군 단체장, 한국전력공사, 수자원공사, 도로공사, 창원기상대 등 21개 기관 관계자가 참석했다. 박 지사는 “자연재난은 예방이 최우선이며, 사고 발생 시 신속한 응급복구와 기관 간 협력이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경남도는 올해 여름철 재난 예방을 위해 인명피해 우려지역 1천467곳을 사전 점검하고 침수 위험지역의 배수로 정비, 수목 제거, 반지하 주택 차수시설 설치 등을 마쳤다. 지하차도 52곳에는 4인 전담제를 운영해 현장 대응력을 높이고 있다. 또한 건설공사장 1천88곳, 하천변 세월교 185곳, 둔치주차장 38곳 등 위험구간에 대한 점검도 완료했다. 폭염에 대비해선 무더위 쉼터 8천405곳과 그늘막 등 저감시설 2천 곳을 운영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폭염으로 인한 온열질환자 377명, 사망 6명이 발생한 점을 고려해, 기존 3대 취약계층에서 15개 민감 대상군으로 안전관리 대상을 대폭 확대했다.
ICT 기반 고령자 건강확인 체계와 드론 영상 관제, 야외작업자 대상 집중 홍보도 병행하고 있다. 도는 향후 기상특보가 발효되면 즉시 재난안전대책본부 비상체제로 전환하고, 문자, 방송, 앱 등을 통해 실시간 정보를 제공할 방침이다. 경남도 관계자는 “최근 4년간 여름철 인명피해 ‘0명’을 기록한 만큼, 올해도 선제적 대응으로 도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