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고성신문 |
|
|
 |
|
ⓒ 고성신문 |
|
한국언론진흥재단 지역신문발전위원회 우선지원대상사 찾아가는 저널리즘 특강이 시작됐다. 이번 찾아가는 저널리즘 사별연수는 지역언론의 위상 제고와 함께 기자들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을 초청해 마련됐다. 지난 19일 진행된 두 번째 특강은 강창덕 경남민주언론시민연합 정책위원장이 언론보도 윤리와 관련된 내용을 강의했다. 강창덕 위원장은 ‘기자, 언론윤리 왜 지켜야 하는가?’, ‘언론윤리-기사와 광고 사이’를 주제로, 언론의 기계적 중립을 가장한 편향 보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등에 대해 설명했다. 강창덕 위원장은 “언론이 특정 사안에 대해 균형을 맞추려는 의도에서 상반된 의견이나 입장을 단순히 나열하는 방식으로 보도하는 것은 언론보도의 기계적 중립”이라면서 “이는 사실의 진위나 맥락을 고려하지 않고 양쪽의 주장만을 동등하게 다루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양측의 입장을 공정하게 보도한다는 의미에서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으나 크게 잘못한 측에서는 이득을 본다. 사실 왜곡이나 진실 은폐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강 위원장은 사실관계나 검증 없이 “A는 이렇게 말했고, B는 저렇게 말했다”라는 양측의 입장만 전달하거나 거짓주장이라도 반대 의견이 있으면 같은 비중으로 보도해 진실여부보다 균형유지에만 초점을 맞추는 경우, 객관성을 유지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판단을 회피하는 경우 등을 기계적 중립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사안의 위중함과 책임의 경중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일부 보도는 심각한 문제”라면서 “기계적 중립과 객관주의 관행은 버려야 한다. 악의적 오보에 대해 지금보다 훨씬 더 강한 책임을 지게 하는 이른바 ‘징벌적 손해배상제’가 도입되면 언론의 이런 마구잡이식 보도, 오보는 줄어들 수 있다. 오보를 줄이는 것이 언론보도로 인한 피해와 고통을 줄이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고성신문은 다음달까지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를 강사로 초청해 한국언론진흥재단 지역신문발전위원회 우선지원대상사 찾아가는 저널리즘 특강을 진행, 기자들의 역량과 언론사 경쟁력 강화에 나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