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고성신문 |
|
고성 외곽지역에 거주하는 어르신들과 이동이 불편한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이동장터 사 도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고성군의회 이정숙 의원은 지난 11일 제300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외곽지역 순회 이동장터 지원을 제안했다. 이 의원에 따르면 고성군은 넓은 면적과 산간 지역이 많아 외곽지역 주민들께서 식료품과 생필품 구매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전북연구원에 따르면 현재 국내 농어촌 마을 10개 중 7개 이상이 ‘식품 사막’으로 분류하고 있다고 밝혔다.
2020년 농림어업 총조사에 따르면 전국 행정리 3만7천563곳 중 70%에 육박하는 2만7천609곳이 소매점조차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중교통이 제한적인 환경에서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들은 고성 장날 읍으로 나가는 것조차 큰 부담이 되고 있다. 이정숙 의원은 “이는 어르신들의 영양 불균형 및 생활 환경과 복지 수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심각한 문제”라며 “교통 취약 지역 주민들에게 필요한 식료품 및 생필품을 직접 제공하는 이동장터 사업 도입을 제안한다”라고 말했다. 그는 “다른 지역에서는 이미 다양한 성공 사례가 있다”라며 “전남 영광군 묘량면의 여민동락 공동체는 2010년부터 이동장터를 운영하며 생필품 제공과 더불어 주민 간 소통창구 역할을 하고 있다”라고 예를 들었다. 또한 “경기 포천시 소흘농협은 지자체와 협력해 ‘찾아가는 행복 장터’를 운영하고 있다”라며 “이는 농림축산식품부의 지원을 받아 식료품과 생필품을 실은 차량이 마을을 직접 방문하는 방식으로 교통 취약 계층의 생활 편의를 크게 개선했다”라고 강조했다.
특히 “이 사업은 농림축산식품부와 지자체, 지역 농협이 유기적으로 협력해 차량 구매와 운영비, 전담 인력 등을 분담함으로써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했다”라며 “이와 같은 사례들은 고성군에서도 충분히 벤치마킹할 수 있는 성공 모델이라고 생각한다”라고 역설했다. 이정숙 의원은 “차량 구매와 기자재는 농림축산식품부의 지원을, 운영비는 고성군이, 인력 및 물품 조달과 판매는 지역 농협이 담당한다면 사업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고 질적인 혜택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라고 덧붙였다.
이어 “이동장터 사업은 단순히 물건을 판매하는 것을 넘어 주민들에게 큰 의미를 지닌다”라며 “주민 삶의 질을 높이고 지역 농산물과 특산품을 함께 판매해 농가 소득 증대와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라고 강조했다. 또한 “시골 어르신들의 사회적 고립으로 장보기가 힘들어 영양 불균형을 초래하고 건강, 수명과 직결되는 생존 문제를 해소하며 지역 공동체의 결속력을 강화하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정숙 의원은 “고성군이 농촌 지역 주민들의 불편을 해소하고 복지 사각지대를 줄이는 데 앞장선다면 이는 단순히 복지 수준의 향상을 넘어 군민 모두가 체감할 수 있는 따뜻한 행정을 실현하는 첫걸음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고성군이 이동장터 사업 도입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농림축산식품부와 협력해 사업 구체화에 나설 것”을 강력히 제안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