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고성신문 |
|
농어업인들이 생산한 농수산물 판매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가격 하락 등의 문제로 이어져 이를 해결하기 위해 행정이나 전문기관의 농수산물 판로확보와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다. 백수명 경남도의회 농해양수산위원장(고성1)은 지난 21일 농정 간담회를 개최한 데 이어 지난 26일에는 어업인 간담회를 열어 농어업 현장의 목소리를 청취하고 각종 애로사항과 건의 사항에 대해 해결방안 모색에 나섰다.
백수명 위원장은 지난 21일 고성군 농업기술센터 농촌생활문화관에서 열린 농업발전 및 현안 청취를 위한 찾아가는 농정 간담회에서 경남도 농정국장, 전 과장, 농업인단체 관계자 등 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농업 현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날 농업인들은 소농 직불금 대상 면적 상향, 농업 기반 시설 업무 이원화에 따른 불편, 친환경농업 인센티브 지급, 농지법 개정, 귀농·귀촌 홍보 강화, 필수농자재 지원 조례 제정, 농산물 최저 가격 보장제 등 농업 현장의 문제점을 제기하고 개선을 건의했다. 경남도 농정국장은 “소농 직불금은 대부분 농가가 소농인 것을 고려하면 현실적으로 필요한 사업은 맞으나 농업의 산업화 흐름에 맞춰 조정될 것으로 보인다”라면서 “농식품부 회의 시 문제점을 제기하겠다”라고 답변했다.
경남도 농업정책과장은 “미흡한 농업 기반 시설 관리는 향후 도 자체 사업 또는 농어촌공사가 관리할 수 있도록 조치하고 농지법 제도개선이 필요한 부분은 농식품부에 건의하겠다”라고 말했다. 백수명 위원장은 지난 26일 수산안전기술원 고성지원 대회의실에서도 경남도 해양수산국장과 과장, 수산자원연구소장, 수산안전기술원장, 구언회 고성군수협조합장, 어업인 등이 참석한 어업 현장 현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날 어업인들은 방류 사업 예산 확대, 어업면허 변경, 가리비 가공 저장시설 건립, 해양 정화 사업 지원, 욕지도 해상풍력단지 반대, 가리비 일시적 출하에 대한 가격 하락 문제, 대구 등 금어기 조정, 청년 귀어 정책 문제 등을 제기했다. 경남도 해양수산국장 등 관계자들은 “방류 사업 예산을 더 확보할 수 있도록 노력하는 한편 어업면허는 지자체에서 관리해 고성군에 문의하면 된다”라면서 “가리비 가공 저장시설은 검토하고 욕지도 해상풍력단지는 어민들의 반대로 중단된 상태로 앞으로도 해수부나 경남도에서도 어민들이 반대하면 추진하지 않을 것”이라고 답변했다.
이어 “대구 등 금어기 조정에 대해서는 의견을 제시하면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청년 귀어 정책에서 문제점은 멘토링이나 6차 산업 등과 연계해 제대로 정착될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설명했다. 특히 이번 두 차례 간담회에서 농어민들은 “생산한 각종 농수산물의 판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 때문에 농수산물 가격 하락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라며 “전문 유통업체와 농어민 협약을 통해 판로를 개척하고 홈쇼핑이나 SNS 홍보, 홈페이지 개선 등 농수산물 판매가 촉진에 더 많은 정책 마련과 지원이 필요하다”라고 한 목소리를 냈다.
백수명 위원장은 “현재 농어업 현장은 고물가, 고금리, 고환율의 현상이 장기화되고 인건비와 생산비 상승, 이상기온으로 인해 피해도 발생하는 등 어렵고 힘든 실정이다”라며 “이번 간담회가 단순히 보여주기식이 아닌 어려운 농어업 현장의 목소리를 청취하고 그에 따른 대책을 마련해 어민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간담회가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이어 “농어업인이 생산과 판매를 병행하면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농업인은 생산에만 집중하고 판매는 행정이나 전문기관에서 맡아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더불어 “이번 농어민 간담회를 통해 제기된 현장의 문제점과 건의 사항에 대해 경남도 국장, 과장들과 함께 현장에서 직접 답변하고 경남도 차원에서 해결되지 않는 건은 중앙부처에 건의하는 등 해결방안을 모색하겠다”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