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고성신문 | |
회사측- 주민들과 협의해 최선을 다해 보상하겠다
주민측- 더 이상 못참아 납득할 만한 대책 세워라
지난 6일 폭발사고가 발생한 마암면 삼락리 고려화공 인근 마을 주민들이 사고발생 3일 뒤인 지난 9일 회사 대표와 면담 자리에서 공장 이전이나 업종변경을 강력하게 요구했다.
이날 각 마을 이장, 주민대표 폭발사고 대책위원회 대표들은 조모(62)회장과 면담을 갖고 폭발로 인한 피해 보상과 공장 이전 또는 업종 변경을 제시했다.
조회장은 불의의 폭발사고로 정신적·물질적 피해를 입은 주민들에게 깊이 사죄의 말씀을 드린다며 현재 전반적인 피해현황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주민들과 협의해 최선을 다해 보상을 하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주민들은 “더 이상 우리마을은 불안해서 못살겠다. 목숨을 담보로 회사측과 어떠한 협상도 하지 않겠다”는 강한 의지를 보였다.
공장을 폐쇄하던지 아니면 업종을 전환시키든지 둘 중에 하나를 선택해라며 만약 공장을 가동한다면 주민들은 물리적으로 저지하겠다는 입장이다.
조 회장은 주민들이 공장 이전 또는 업종 변경 요구에 대해 이사회나 주주총회를 거쳐 결정될 사항이라며 국방부와의 납품계약, 근로자 해고 문제 등 협의할 것이 많아 당장 수용하기는 어렵다는 입장을 밝혔다.
또한 우선 피해를 입은 주민들에 대한 보상문제가 급선무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조치가 끝난 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고려화공은 교육 훈련용 탄약을 제조하는 군수업체인 고려화공에는 산화성고체, 가연성 고체, 인화성 액체 등을 취급하고 있다.
일반취급소 10개소, 옥내저장소 10곳이 있다.
고려화공에 대한 위험물 관리체계에 허점이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지난 2003년 매미 때에도 폭발해 마을주민이 고성경찰서로 피난하는 소동이 벌어졌으며 해마다 한번씩 대피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주민들은 최근 5월 28일경에는 고려화공에서 대낮에 폭음과 화약을 시험해 인근 주민들이 깜짝 깜짝 놀라며 회사를 직접 방문해 항의를 했지만 아무런 제제가 안됐다 고 주장했다.
주민 강모(72)씨 “폭발 사고후고려화공 측이 신속하게 사고수습을 하지 않았다”며 분개했다.
이번 고려화공 사고로 인한 주민과 회사측간의 타협점이 어떻게 날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