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 전 축제에 관한 자료와 자문을 구한다는 이유로 ○○시의 관계자 몇 분이 우리 사무실로 찾아온 일이 있었다. 그 분들과의 대화 속에서 나는 문화 장 일선에 종사하는 분들의 현실적인 고민을 읽을 수 있었다.
이 고민의 첫 시작은 ‘관객확보 즉 찾아오는 분들의 관심을 어떻게 이끌어 내고 그들에게 만족감을 줄 것인가?’에서 출발한다.
그리고 마지막 종착지는 행정수장의 지속적인 관심과 예산지원, 장기적 발전 정책으로 귀결된다.
그리고 축제를 이야기할 때마다 거론되는 것 중에는 경제적 효과가 어떻고 대외 이미지가 어떻고 하는 이야기들이 등장하는데 이러한 이야기를 들을 때면 조급증과 이분법적 사고로만 문화를 바라보는 것 같아 안타까움을 느낀다.
실제 문화 예술 분야가 직접적인 경제부양 효과 내지 지역민들의 소득증대 나아가 일자리 창출과 대외적 생산품 판매 증대 등의 가시적 성과로 나타나기까지는 많은 시간과 인내가 필요 하며 무엇보다도 지역민들의 합의와 노력 그리고 정책이 뒤따라야 한다는 것이다.
나아가 문화 예술이 존재하는 이유 중의 하나는 삶의 질을 풍요롭게 하는 정서적 의미가 크기에 이점을 간과해서는 더욱 안 된다.
2000년 초입, 우리는 21세기를 문화의 세기라 이야기했다.
이 문화의 세기는 문화 자산 가치를 보편적인 생활중심의 문화기준에서 이제는 미래 산업을 선도하는 부가 가치창출 산업 즉 블루오션으로 바라보고 접근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동남아시아를 강타하는 한류 열풍에서도 알 수 있듯이 한국적인 문화 콘텐츠가 한국을 이해시키며 동경의 대상으로 각인되어 한국 상품이 시장을 점유하는 것에서도 단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국내에서도 지방자치단체들이 앞 다투어 보유하고 있는 문화 컨텐츠를 미래 성장 동력으로 삼고자 장기적 발전 전략과 정책을 개발하고 있으며 가시적인 성과를 나타내는 곳도 여럿 있다.
과거 우리는 문화 자산을 지켜서 후대에게 물려주는 것만으로도 힘에 벅찬 시대가 있었다. 그러나 지금은 아니다.
이제 달라져야 한다. 상품화시켜 판매하는 문화의 전략과, 지켜서 전승시켜야 하는 문화의 전략, 지역을 대표하는 브랜드 문화와 각 마을을 대표하는 공동체 문화 등 자원에 따라 그 접근과 육성방안을 달리하여야 한다. 그리고 때에 따라서는 이를 통합하여 극대화 시켜내는 방안도 필요한 것이다.
또한 현재의 문화 상품은 체험, 교육, 가족, 여행 이라는 구조로 발전되고 있으며 그 중심에는 정체성, 차별성, 특이성, 연속성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
과거 국경이라는 개념이 단절, 막힘 등으로 와 닿았다면 지금의 국경은 경계선 구분 정도로 인식되고 있다.
이것이 뜻하는 바가 무엇이겠는가?
이는 지역을 대표하는 문화 상품은 있어도 지역에 국한되는 문화 상품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나아가 지역이라는 개념은 중요치 않다.
이제 세계이다. 세계의 문화시장이 우리 앞에 와있으며 그 중심에 우리가 우리 군이 당당히 서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장ㆍ단기 발전방안이 필요하며 유사한 성격의 기관이나 단체의 통합과 조정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나아가 가칭 고성문화 발전 조례 제정 등 법적인 뒷받침도 필요하다 하겠다.
“나는 우리나라가 (중략) 오직 한없이 가지고 싶은 것은 높은 문화의 힘이다. 문화의 힘은 우리 자신을 행복 되게 하고, 나아가서 남에게 행복을 주겠기 때문이다”라는 백범 김구선생님의 말씀처럼‘고성 문화’긴 안목으로 바라보고 접근하기를 기대한다.
그리하여 현재의 관객인 우리들도 중요하지만 미래의 고객들인 우리의 아들, 딸 에게 문화적으로 우월한 미래 고성을 물려주면 어떨까? 하는 바람을 가져본다.
(고성공룡나라축제추진위 사무국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