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고성신문 |
|
고성군은 체계적으로 농축산물, 가공제품을 생산하고 판매하는 시스템을 구축해 농업인 소득을 증대하기 해 지역 먹거리 계획을 수립했다. 군은 지속 가능한 먹거리 보장을 위한 고성군 먹거리 마스터플랜을 수립하고자 10개월의 연구용역 기간을 거쳐 지난 4일 농업기술센터에서 최종보고회를 열었다. 최종보고회는 농업기술센터 소장을 비롯한 관계 공무원 등 20여 명이 참석했으며, 지난 7월 중간보고회 때 제시된 다양한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해 최종안에 반영됐다.
이번 연구는 지역 내에서 안전한 농산물을 생산하고 조달하며 소비하는 시스템 구축을 하는 것이 주요 내용으로 한양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에서 연구용역을 진행했다. 지역 먹거리 선순환 체계를 통해 군민의 건강하고 안전한 먹거리 제공이라는 보편적 가치를 실현하고자 고성군 행정의 역할과 기능을 정립하고 방향을 설정했다. 또한 ‘신뢰받고, 경쟁력 있는 고성군 먹거리 통합시스템 구축’을 비전으로 삼고 고성군 지역 먹거리 계획 수립을 위한 5대 추진전략과 15개 핵심과제가 제시됐다.
특히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학교급식 한계를 극복하고 인구 고령화에 따라 노인, 장애인 등 복지 분야로 공공 급식을 확대하기 위해 핵심역량을 집중할 것을 강조했다. 중·장기 추진 계획으로는 2025년부터 2026년까지 도입 시기로 먹거리 통합관리 체계 보안 준비, 지역 먹거리 시장 확대, 기획생산 체계구축, 고성 푸드 인증 조직 구성, 농축산물 가공산업 육성 지원 체계구축 등이 과제로 제시됐다.
정착 시기인 2027년부터 2029년까지는 먹거리 통합지원센터 운영 확대, 먹거리 통합인증 체계 구축, 식생활 교육 지원센터 지정 및 교육 등이 필요하고 2030년부터 2033년까지는 먹거리 통합 정보화 시스템 구축, 스마트 물류, 정밀농업 체계구축 등의 방안이 제안됐다. 군 관계자는 “이번 지역 먹거리 계획 수립 연구용역 자료는 앞으로 정부 공모사업이나 사업을 추진하는 데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강석주 농업기술센터 소장은 “지속가능한 먹거리 기반을 구축해 군민들에게 건강하고 안전한 먹거리를 우선 공급하고 나아가 광역 단위까지 공급을 확대하는 것이 목표”라고 강조하며 “이를 위해 관련 부서와 긴밀히 협력해 고성군 먹거리 선순환 체계가 구축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