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년 안에 고성 인구가 2만 명 이하로 줄어든다는 예측이 나왔다. 이에 군민들은 대학, 일자리 등의 확보와 연계를 통해 인구 유입을 유도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국토연구원 연구진은 통계청의 최근 2년 전국 단위 주요 인구 데이터를 토대로, 지난해 경남 총조사 인구 327만 명 기준 경남의 미래인구를 추계했다. 단, 각 자치단체의 출산이나 보건·신도시 건설 등 미래 정책이나 특수성은 반영되지 않았다. 연구진의 예측에 따르면 8년 후인 2031년 경남도 인구는 300만 명 선이 무너지고, 2047년에는 210만 명으로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연구진은 도내 시군구의 인구가 2만 명 이하로 떨어지는 시점도 추계했다. 그 결과 고성군의 인구는 향후 50년 내에 2만 명 이하로 내려앉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저출생과 고령화의 급속화와 함께 인구 유출 속도 또한 빨라지면서 점차 더 악화할 수 있는 상황이다. 이번 결과에 따르면 의령과 함양·하동·합천·남해·산청 등 6개 군은 30년 안에, 고성을 포함한 함안·창녕·사천은 50년 안에 인구가 2만 명 이하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전문가들은 지역인구가 2만 명 이하로 줄어들면 공공 서비스와 민간 서비스가 안정적으로 제공되지 않으면서 사실상 지역의 기능 소멸이 시작된다고 보고 있다.
국토연구원 관계자는 “인구 2만 명은 하나의 도시가 운영되는 최소한의 규모”라면서 “지역이 인구 2만 명을 갖지 못한다면 해당 지역은 도시적 기능을 할 수 없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고성은 합계출산율 또한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통계청이 지난달 28일 발표한 2023년 출생통계에 따르면 전국 평균 합계출산율은 0.721명이었다. 고성은 2021년 0.79였던 합계출산율이 2022년 0.661명으로 감소한 데 이어 지난해에는 0.619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남도는 물론 전국에서도 최하위 수준이다.
군민들은 인구증가시책, 출산장려정책 등의 차별화와 현실화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내놓고 있다. 단순 지원이 아닌 대학과 일자리가 연계돼 정주로 이어질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A씨는 “고성의 인구가 늘려면 결국 다른 지역의 인구가 유입돼야 하는데 지원책은 물론이고 임금이 높은 일자리나 정주 여건이 차별성이 없다면 누가 오려 하겠냐”라면서 “초기 정착만을 위한 지원이 아니라 장기적으로 거주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는 것이 더욱 중요한 문제이므로 군민들과 행정이 머리를 맞대고 의견을 나눠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B씨는 “대학이 없고 일자리가 부족한 고성의 현실 상 인구 유입에는 한계가 있고, 진학과 취업 문제로 청년들은 외지로 나가 돌아오지 않는다”라면서 “교육과 취업을 보장할 수 있는 획기적인 계획을 마련하지 않는다면 분석 결과처럼 50년 후에는 2만 명, 어쩌면 그 이하가 되고 지역이 사라질 수도 있다”라고 우려를 표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