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고성신문 |
|
서울과 부산의 열대야가 ‘118년’, ‘120년’만 이라고 한다. 자연은 거짓이 없다. 인간의 편리와 안락을 문명이라고 한다. 그러나 자연을 극복한다는 것은 영원한 숙제다. 속담에 ‘어정 7월 건들 8월’은 가을의 시기를 말한다. 농촌은 잠시 한가해지는 때다. 열대야가 극성이지만 가을이다. 그러나 아무리 더워도 입추 후에는 천지의 기운이 바뀐다. 양기는 점점 쇠퇴해지고 천지에 음기가 올라오기 시작한다. 자연은 봄여름의 생장번영에서 수집하고 수렴하는 것으로 바뀌기 시작한다.
가을양생의 원칙은 정신을 가다듬고 기운을 내리고 건조한 것을 촉촉하게 하며 폐를 억제시키며 간을 도와주어야 한다. 이렇게 하면 인체의 오장(五臟)이 평행을 유지하여 무병장수할 수 있다. ‘황제내경’에서 “양생을 잘 하는 사람은 가을에는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서 생기가 왕성하게 해야 한다. 또 정신을 수렴하여 마음속에 나쁜 마음이나 불쾌한 기분이 들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라고 했다.
양생음식을 만드는 방법은 ‘추불식신랄 소흘신랄식물(秋不食辛辣,少吃辛辣食物)’이다. 이것은 음식에 신맛을 평상시보다 약간 더하여 주고 매운맛은 좀 줄여야 한다는 말이다. 인체는 자연에 순응하여 천지간의 기운에 부합하여야 오장이 평형을 이루게 된다. 그러나 습기와 열기는 아직 대지에 머무르고 있다. 양생법은 ‘건비거습, 익위생진(健脾祛湿 益胃生津)’해야 한다. 이 말은 인체의 소화기관을 튼튼히 하고 습기를 몰아내며 몸 안에 진액을 보충해야 한다는 것이다.
산의 나무가 수액이 내려 단풍과 드는 것과 마찬가지로 가을은 마르는 기운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인체도 폐(肺)가 마른다. 인체의 폐는 금(金)의 기운을 띄고 있어 이 기운이 가을과 통하게 된다. 그러므로 진액을 만드는 좋은 식재를 더 섭취해야 한다. 식재료는 시고 달며 약간 쓴맛이 있는 것이 좋다. 여주, 홍당무, 토마토, 동과, 고구마, 연근, 옥수수, 포도, 배, 복숭아, 파인애플, 멜론 등이다. 인체가 가을의 기운에 제대로 순응을 하지 못하면 어찌될까? 인체에 건조한 기운이 도를 넘어 바람과 합세를 하여 바람의 나쁜 사기(風邪)를 만들게 된다. 풍사(風邪)는 먼저 인체의 폐랑 연결된 살갗의 털과 코로 침입하여 온다. 폐(肺)의 발산 기능이 정상이면 빨리 대응할 수 있다. 그러나 인체가 저항할 수 있는 능력이 없으면 폐가 주관하는 털과 코, 폐 안으로 각종 사기가 돌격해 들어와 위해를 입는다. 각종 가을철 질병이 발생하는 원인이 된다.
# 당뇨를 예방하는 여주볶음 효능-폭염의 열기를 식혀 간을 해독을 하고 심장의 피로를 풀어주며 고혈압과 당뇨를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 재료-여주 1개, 올리브유, 약선 간장 만드는 법 여주를 씨를 빼고 썰어서 팬에 올리브유를 두르고 볶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