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고성신문 |
|
양생에서 계절 질병치료 방법 중 동병하치(冬病夏治)가 있다. ‘황제내경 사기조신대론(黃帝內經.四氣調神大論)’의 “춘하양양 추동양음(春夏養陽 秋冬養陰)”의 이론이다.
여름은 인체의 양기를 길러 겨울 질병에 대비하고 가을과 겨울에는 인체의 음기를 길러 여름 질병에 대비한다는 뜻이다. 추운 계절에 쉽게 발병하거나 증상이 심해지는 질병을 더운 여름철에 예방하고 치료하는 양생요법이다. 동병(冬病)은 겨울철에 발생하거나 심해지는 질병이다. 감기, 기침, 천식, 알레르기비염, 만성기관지염, 폐기종 등의 만성 폐질환과 같은 호흡기질환과 수족냉증. 류마티스관절염, 오십견 같은 비증(痺症). 만성 위염의 위통 등으로 폐장, 비장, 신장(肺腸,脾腸,腎腸)인 삼장의 허손, 양기부족에서 오는 질병이다.
하치(夏治)는 여름철 인체의 양기가 가장 왕성한 삼복(三伏)시절에 자연에 순응하여 자연의 온열지기를 빌어 양기를 보익한다. 한사(寒邪 인체에 쌓이는 나쁜 한기)를 몰아내어 혈맥을 잘 통하게 함으로써 인체의 면역력을 증강시키는 방법이다.
양생에는 천식의 병은 폐에 있지만 원인은 비장에 있고 그 근본은 신장에 있다. 그러므로 폐를 수렴하고 소화기관을 튼튼하게 하며 신장을 자양을 해주어야 한다. 좋은 시기는 눈에 보이는 겉보다 근본을 치료하는 시절은 삼복(三伏)때가 가장 좋다.
대표하는 식재는 고대부터 ‘동흘라복하흘강(冬吃蘿卜夏吃薑)’이라 한다. 겨울에는 무, 여름에는 생강을 먹으면 의사를 찾을 필요가 없다는 뜻이다. 고대부터 민간과 양생의학에 전해지는 말로는 ‘생강치백병(生薑治百病)’이라 했다. 즉 생강은 백병을 치료한다고 한다. 생강은 뜨거운 여름시절에 흥분, 땀을 많이 흘려서 내려가는 체온, 정신혼미 등을 치료하고 피로, 스트레스, 식욕부진, 불면증, 헛배부름증, 복통 등의 증상을 치료하며 위를 튼튼하게 하여 준다. 또 더위로 입이마르고, 위액분비가 감소하며 갑작스런 위경련, 위염, 십이지장궤양 등으로 생기는 증상에 좋다.
여름철 입에서 신물이 생기며 구토가 나오고 배고픔을 느낄 때에는 생강 50g을 끓여서 마시면 이런 증상이 즉시 해소되기도 한다. 그리고 야외에 나가서 음식을 만들 때 각종 살균작용과 고기류의 연육작용, 소화증진도 함께한다. 이처럼 생강은 여름철 지친 몸에 보약이다.
# 여름감기를 예방하는 동과탕 효능 : 더위를 극복하고 각종 담증을 없애며 습기를 몰아내고 가슴 답답증, 고혈압, 비만, 기침천식 등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 재료 : 동과 200g, 쇠고기 200g, 토란대 50g, 대파 3개, 간장, 홍초, 생강, 마늘
만드는 법 1. 솥에 물을 붓고 마늘, 생강, 술을 넣고 고기를 삶아 육수와 고기를 준비한다. 2. 1의 육수에 동과, 토란대, 홍초를 넣고 익으면 고기를 넣고 완성한다.
|